PGR21.com 배너 1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04/17 16:50:26
Name Leeka
Subject [일반] 서울지역의 교차투표가 나온 5군데

교차투표

> 당선된 후보의 당과, 비례대표 1위 당이 다른 경우



서울은 이번 선거에서는 5군데에서 교차투표가 나왔다고 합니다.



종로구 ->   지역구 더불어민주당 /  비례 미래한국당
송파병 ->   지역구 더불어민주당 /   비례 미래한국당
강동갑 ->   지역구 더불어민주당 /  비례 미래한국당
강동을 ->   지역구 더불어민주당 / 비례 미래한국당
중구성동을 -> 지역구 더불어민주당 / 비례 미래한국당.




나머지 서울은 지역구와 비례가 일치합니다.


전체적으론 지역구는 표가 더불어민주당에 모였지만,
비례는 분산되었다..  
(실제로 미례한국당은 지역구 표 - 비례표 차이가 적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차이가 꽤 나고 있습니다.)

가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데요..



이 차이를 잘 파고 들 수 있는 당이 있는지도 미래의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저 차이만큼이 민주당이 좋진 않지만,  자한당은 더 싫어..  를 표현하는 숫자가 아닌가 싶네요)


하지만 현재 분위기로는 안될꺼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handler
20/04/17 16:52
수정 아이콘
이낙연전총리의 위엄이네요. 미통당 비례가 더 높은곳에서 압도적 승리...
기기괴계
20/04/17 16:53
수정 아이콘
거기에 황교안이 얼마나 싫었으면도 더해지나요.
뜨거운눈물
20/04/17 16:55
수정 아이콘
대선후보 되면 외연확장에 확실한 도움이 될듯합니다
구라쳐서미안
20/04/17 16:54
수정 아이콘
후보개인의 중량감에서 오는 지지율 격차도 있고(특히 종로구), 더불어시민당과 열린민주당으로 비례표가 나뉘어서 발생한 오류라고 생각합니다. 저 교차투표 부분에 열린민주당을 더했을때에는 교차투표 결과가 아닐 거라고 생각됩니다. 열린민주당 비례표까지 추가했는데도 교차투표가 발생했다면 지역구의 당선된 그 후보가 인지도가 큰 후보거나, 지역구 민심이 크게 쏠릴 수 있는 인물이었다는 반증이겠죠.
아우구스투스
20/04/17 16:55
수정 아이콘
열린민주당까지 합치면 다 역전할거 같아요.
탐사정의위엄
20/04/17 16:59
수정 아이콘
정의당/열린민주당 득표가 얼마나 되었는지도 따져봐야 정확하겠죠. 민주당 비례득표는 항상 다른곳으로 빠지는게 일상이었고 요번에도 정의당, 열린민주당, 심지어 국민의당으로도 많이 빠져나갔을 겁니다. 뭐 결국은 보수세력을 싫어하는건 마찬가지라 미래통합당 측에서 분석을 한다해도 크게 의미가 있진 않을겁니다.
구라쳐서미안
20/04/17 17:02
수정 아이콘
위에 댓글을 적어놓고, 다시 직접 들어가서 찾아보니 송파병을 제외하곤 근소한 차이로 더불어민주당+열린민주당이 앞섭니다.
지락곰
20/04/17 17:03
수정 아이콘
확실히 송파가 민주당이 좀 할만하더군요.
종부세에 서울시장 송파구청장 뻘짓 연타로 들어와서 송파갑을은 10% 차로 발릴거라 봣는데 오차범위에서 선전했네요.

민주당 입장에서 송파는 박성수를 구청장으로 보낸게 아쉽겠네요. 국회의원이 더 어울리는 사람인데, 실제로 구청장직 잘 수행 못하는 것 같고...
데이타상 박성수가 그대로 송파갑 나왔으면 강남3구 허리 끊어버렸을 것 같습니다.
20/04/17 17: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교차투표가 아닌게,,
황교안 득표수(3만7594표) > 미래한국당 득표수(3만987표)
이낙연 득표수(5만4902표) >> 더불어시민당 득표수((3만539표)

친박신당, 국민의당 투표하는 사람이 황교안 찍은거고
정의당, 열린민주당 투표하는 사람이 이낙연 찍은거죠.

진짜 교차투표면, 황교안 득표수보다 미래한국당 득표수가 많아야는거라 봅니다.
또한 비례대표 무효표가 더 많았을테니 지역구투표수가 더 많았을테구요.
구라쳐서미안
20/04/17 17: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종로구 표상황을 분석해보니, 미래한국당 30987 우리공화당 685 친박신당294 기독통일자유당 1716 여기까지 33682표고, 범야라 할 수 있는 국민의당 7166 에서 4천여표정도 끌어온 게 황교안 후보의 결과로 나타났습니다.
더불어시민당 30539 열린민주당 6064 더해서 36603표고, 범여라 할 수 잇는 정의당 9075 민생당 2212 까지 합치면 47890표인데 실제 이낙연씨의 표는 54902였습니다. 이낙연후보는 민주당계열 다 잡아먹고, 범여도 다 끌어안고도 어디선가7천여표를 더 얻어온 셈입니다.
20/04/17 17:55
수정 아이콘
전 이렇게 봅니다.
지역구 무효표와 비례대표 무효표 계산을 해봐야 한다고 봅니다.

황교안 찍은 사람들 중 4천표정도가 비례투표시 무효표, 20여개 마이너한 당 지지하였을거라 봅니다.
이낙연 찍은 사람들 중 7천표정도가 무효표, 20여개 마이너한 당 지지하였을거라 봅니다.

진짜 교차투표는 비례당 표수가 지역구의원보다 더 많은 경우라고 봅니다.
인물이 후져서 상대방 인물 찍고, 당은 차마 여기 찍었소가 되니까요.
구라쳐서미안
20/04/17 18:11
수정 아이콘
네 그렇게 볼 수도 있겠습니다. 당이너무 많아서 주요당들만 분석했기에 구멍이 좀 크긴 했어요.
GRANDFATHER__
20/04/17 17:05
수정 아이콘
지상욱씨 지역구에서 뭐 한게 없다는 말 들은적이 많았는데 맞긴한가보네요.
20/04/17 18:25
수정 아이콘
어 뭐 한 거 없습니다. 제가 성동구 지역민인데 성동구청장은 정말 열심히 하는데 지상욱씨는 TV 외에는 본 적이 없습니다.
지역구 국회의원이니까 지역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저는 이번에 들어온 초선 국회의원들은(특히나 수도권) 지역구 관리 노하우는 꼭 배워야 다음 총선에서도 당선될 가능성이 올라갈겁니다.
두부빵
20/04/17 17:49
수정 아이콘
진선미가 지역구에서 인기가 많았군요.
탐사정의위엄
20/04/17 18:06
수정 아이콘
사실 이런 교차투표(?)의 흐름은 국민의당 존재때문에 20대 총선때가 더 극심했죠. 그래서 20대 국회에서 양당을 벗어난 다양한 정당들이 나올 수 있었구요. 근데 지금은 3지대 정당이 대부분 축소된 상황이라 이런 흐름을 파고들기도 어려울겁니다. 정의당은 연동형의 수혜를 못받았고 열민당은 민주당에 흡수될 예정이고 국민의당은 지난번에 비해 상당히 아쉬운 성적을 거뒀으니깐요.
크랭크렁
20/04/17 18:15
수정 아이콘
진선미 후보 안찍고 비례표는 줬는데 정 반대라니 크크
20/04/17 18:31
수정 아이콘
송파병 지역민인데 제 주위 어르신들 중에도 남인순/미통당 라인이 많습니다
인터넷에서는 페미나치라고 욕 먹어도 현실은 지역구 관리 잘해서 다선 가능성 높아요...
계층방정
20/04/18 11:49
수정 아이콘
서영교도 엄청난 비호감 스택을 쌓고도 경선도 이기고 선거도 이긴 거 보면 그런 류인 것 같은데 지역민 얘기를 직접 들은 적이 없어서 좀 궁금합니다.
20/04/17 20:48
수정 아이콘
더불어시민당+열린민주당 합치면 미래한국당 보다 더 많겠죠. 정의당까지 합치면 말할 것도 없고
앙겔루스 노부스
20/04/17 22:26
수정 아이콘
저는 비례지지율을 수치 그대로 해석하는 건 맞지 않다고 봅니다.

비례의원수가 얼마 안되기에, 소신껏 던져도 대세에 지장이 없으니까 그런거지, 만약 비례가 100석 150석이라면 저렇게 되지 않을걸요? 비례의 존재감이 커진다면, 일반 득표에 수렴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39 [일반] 이제 보수 진보도 재정립이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합니다. [38] 눈물고기6595 20/04/19 6595
4938 [일반] 40대 입장에서 바라본 미통당... [41] 삭제됨8515 20/04/19 8515
4937 [일반] 글로만 봐도 홧병나는 민주당 암흑기 [196] 불굴의토스24410 20/04/19 24410
4936 [일반] [질문]그래서 ARS와 면접조사는 누가 이긴건가요? [24] 앙겔루스 노부스8271 20/04/19 8271
4935 [일반] 유튜브 민심만 바라보다 무너진 미래통합당 [77] 나디아 연대기12997 20/04/18 12997
4934 [일반] 젊은 계층의 우경화를 두려워 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44] 루트에리노8454 20/04/18 8454
4931 [일반] 몇번이나 지적되었지만, 여의도연구소의 완전한 몰락. [76] 불굴의토스14750 20/04/18 14750
4930 [일반] 조리돌려지는 박성민 컨설턴트 [38] 어강됴리14780 20/04/18 14780
4929 [일반] 딱히 미통당이 망한 건 유투버가 문제가 아닌것 같은데요? [28] 벨라도타8149 20/04/18 8149
4928 [일반] 승리의 뒤편에서 [49] 뿡빵뿡빵7578 20/04/18 7578
4927 [일반] 미래통합당 남성 지지율 1위 60대 이상, 2위 20대 [72] 손금불산입10927 20/04/18 10927
4926 [일반] 언론사 인포그래픽 모음 [19] 어강됴리7788 20/04/18 7788
4925 [일반] 선게를 정치게시판으로 계속 유지하는게 어떨까요 [38] 루트에리노5531 20/04/18 5531
4924 [일반] 그자찍 했던 사람입니다. [135] 움하하10660 20/04/18 10660
4923 [일반] 출구조사 유시민 선거결과 그리고 양당에 대하여 [39] Liberal7915 20/04/18 7915
4922 [일반] [단상] 확실히 주류의 헤게모니가 민주당으로 넘어온듯합니다 [25] aurelius7385 20/04/18 7385
4921 [일반] 개인적으로 느낀 이번 선거의 키워드 [52] 프테라양날박치기7608 20/04/18 7608
4920 [일반] 6번의 도전, 6번의 눈물 [128] 어강됴리11259 20/04/18 11259
4919 [일반] 어떤 이의 보수당 재건 시나리오 [135] 길갈11822 20/04/18 11822
4918 [일반] [유머?]가장 신박한 미래통합당 총선 패배 원인 분석. [40] kien8719 20/04/18 8719
4917 [일반] 종편 재승인을 위한 전체회의가 연기되었습니다 [36] 허세왕최예나7122 20/04/18 7122
4916 [일반] 사전투표 주작론에 제대로 빡친 이준석 [75] 치느11187 20/04/18 11187
4915 [일반] 날이면 날마다 오는 그 레파토리 [63] 렌야7889 20/04/18 78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