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7/03/31 02:11:44
Name legend
File #1 제목_없음.png (2.04 MB), Download : 24
Subject [기타] 요즘 인기있는 배틀그라운드 방금 시작했는데


시작하자마자 첫판부터 우승했네요 크크크! 초심자의 행운인지...8명 정도 남았을때 긴장감에 쫄깃해지는 기분, 그리고 마지막 라스트맨 스탠딩
상황이 되자 심장 터지는 줄 알았습니다. 위에서 기어오는 적을 밑에 있다가 우회해서 사각 잡아 선제사격 해버리니 에임 구려도 선빵필승 법칙
으로 이겼네요 크크.
이런 종류의 서바이벌 배틀로얄은 h1z1, 보통 하이지라고 불리는 게임으로 유명했고 사실 그때는 별로 접할 기회도 없고 해서 안해봤었습니다.
그리고 이 게임, 보통 하이지의 후속작같이 인식되는 배틀그라운드는 말 들어보면 생각보다 많이 다르다고 하더군요. 테라 온라인으로 유명한
블루홀 스튜디오에서 한국개발자들이 개발했다고도 하고. 여튼 최근 트위치에서도, 카카오팟에서도 이 겜하는 방송인들이 많아서 관심이 생겼
습니다. 일반 FPS는 에임재능빨이 매우 크지만 이런 게임은 잘만 머리 굴리면 상위권이 어렵지 않으니...총 잘 쏘는 사람이 무조건 이기는 겜이
아니라서 재밌었네요. 보는 것도 그렇고 직접 해본 것도 그렇고.
아직 얼리 억세스라서 미완성인 게임이라 정식 완성된 버전이 되면 더욱 재밌어 질 것 같아 기대가 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달걀먹고빵구빵
17/03/31 02:30
수정 아이콘
16시간 플레이동안 탑5는 열번가까이 들었지만 한번도 우승을 못해봤습니다. 이럴수가
네~ 다음
17/03/31 03:33
수정 아이콘
운과 실력이 둘다좋으시네요.. 이 게임도 이제 출시[?]만 한상태라 앞으로 H1Z1처럼 어떻게 발전해나갈지 기대가됩니다.
티모대위
17/03/31 07:37
수정 아이콘
이거 생각 이상으로 호평이 많더군요. 네이버 뉴스 댓글에서는 이런 게임 만들어줘서 고맙다는 반응까지....
사람들이 기대하는건 유저들과의 소통 및 피드백인데... (테라 시절의 전적이 있어서) 인터뷰 보니까 잘할 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17/03/31 09:35
수정 아이콘
엘린이 번돈으로 만들었다는 그게임!
키리하
17/03/31 10:01
수정 아이콘
최적화가 전 좀 아쉽더라구요.
8기가 램에 6600 + 960쓰고 있는데
뭔가 사람 많이 들어오면 좀 끊기는 느낌이 들어서 바로 환불했었네요.
친구들이랑 듀오나 스쿼드 돌리면 꿀잼일 것 같은데
아쉽게도 친구들이 다 똥컴이라 흑흑.. 다음에 컴퓨터 다 바꾸고 해보기로 했네요.
피시방 서비스도 해주면 좋을텐데 아쉬워요.
비슷한 하이지도 방송 많이 봤었는데 하이지보단 이게 더 깔끔하고 재밌어 보이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1070 [LOL] 롤챔스 포스트시즌 팀 선수들의 MSI & 롤드컵 커리어.. [16] Leeka8731 17/04/03 8731 1
61069 [LOL] [LOL] 처음으로 10연승했습니다!! [10] 챔쁜이7734 17/04/03 7734 0
61068 [LOL] 2017 LCK Spring Split + PS - 각 팀에 대한 소고와 전망 [48] Vesta10450 17/04/03 10450 22
61067 [스타1] 임요환 첫 우승 ~ 허영무 마지막 우승까지 결승 4강 8강 횟수 [82] 삭제됨16892 17/04/03 16892 2
61065 [스타2] 박령우가 10회 연속 코드 S 본선 진출에 성공했습니다. [16] 보통블빠8759 17/04/03 8759 0
61064 [디아3] PGR21 클랜원 분들께 감사합니다. [15] 무리뉴7978 17/04/03 7978 4
61063 [스타1] 최상위권에서 토스가 안좋은게 맞습니다.txt [162] 라티15610 17/04/03 15610 0
61062 [스타1] 밸런스를 논할때 임이최갓을 빼는게 말이 안되는 이유 (글수정) [83] ZeroOne12446 17/04/03 12446 10
61061 [스타1] 양대 리그 결승으로 보는 종족별 유불리 [51] 종합백과11135 17/04/03 11135 1
61060 [LOL] 정규시즌 종료 시점에서 돌아보는 LCK 최악의 챔피언들 [53] tjsrnjsdlf9219 17/04/03 9219 1
61059 [히어로즈] (약스압)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새로운 시작 : 히오스 2.0" [16] 은하관제15290 17/04/03 15290 6
61058 [기타] [섀버] 마스터랭크 2위 질주복수뱀파 [16] cluefake7089 17/04/02 7089 0
61057 [스타1] 토스 게이머 서러워서 스타하겠습니까? [116] 걸스데이15787 17/04/02 15787 8
61056 [스타1] 프로토스가 4회이상 우승하지 못한건 종족의 한계일까요? [109] 성동구16465 17/04/02 16465 0
61055 [스타1] 종족 밸런스를 논할때 제일 이해 안되는것.txt [124] 라티13011 17/04/02 13011 0
61054 [기타] [H2] 프야매 쿠폰 나눔합니다. [36] papaGom9609 17/04/02 9609 0
61052 [LOL] 개인적으로 뽑은 LCK 퍼스트팀 세컨 써드 그리고 워스트팀 [79] Eulbsyar9476 17/04/02 9476 1
61051 [스타1] ASL 시즌3 서울 예선 결과 (feat. ㅇㅅㄱ) [22] 은안13793 17/04/01 13793 2
61050 [스타1] 저징징 [15] 성동구9626 17/04/01 9626 0
61049 [스타1] 개인적으로 원하는 밸런스 패치-1 [33] 멍하니하늘만9752 17/04/01 9752 0
61048 [하스스톤] '운고로를 향한 여정' 아무말 대잔치를 개최합니다. [14] 산양13351 17/04/01 13351 4
61047 [스타1] 역대 개인리그 우승자 13명을 통해 본 테사기 논란 (2007년 ~2012년).txt [28] 라티9420 17/04/01 9420 1
61046 [하스스톤] 확장팩 '운고로를 향한 여정'의 카드가 모두 공개되었습니다. (데이터 주의) [36] 산양14781 17/04/01 14781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