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2/26 13:56:52
Name 공기청정기
Subject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수정됨)
  

  0. 왜 그...트윙키라고 있죠?

  예전에 외국인 클라이언트랑 일 한 기사 하나가 한상자 얻어 와서 먹어 보라고 몇개 줬는데 말이죠.

  배가 엄청 고파서 하나를 그자리에서 까 먹었거든요?

  한입 딱 먹고 반응이...

  "...크흐흐흐흐흐...."

  진짜 저런 반응이었어요.

  너무 달고 기름져서 헛웃음이 나올 정도의 맛이랄까...;;;

  이게 그렇게 인기가 있다고? 정말? 허니버터칩처럼 빤짝 한거도 아니고 수십년동안 인기를 끌었어?;;;

  미국 사람들 대단하다 싶더라구요...이걸 맛있다고 먹을 정도로 느끼한걸 잘 먹는다는 소리니...;;;

  느끼하기만 하면 뭐 저도 우유 곁들여서 한개 정도는 먹겠던데 달기가 아주 그냥...;;; 머리가 아플 지경이던데요 그거.;;;

  솔직히 지금은 그런거 먹으면 안되고 먹게 되면 일단 뛰어야 되는 처지 입니다만...왜 그 독일제 과자 던가? 밀카라고 있잖아요 초콜릿 메이커.

  거기서 나오는거 중에 얇은 초콜렛 스펀지 케이크 두장 사이에 크림 넣고 그걸 초콜릿으로 코팅 한거 있거든요? 요샌 국내에도 파나? 하여간 그게 훨씬 맛있어요. 좀 더 부드러운 단맛이 나더라구요.;;;

  참고로 남은 트윙키들은 그걸로 사람 낚는데 잘 썼습니다. 다들 먹고 반응이 재미있더라구요.(...)


  1. 달콤한 과자라고 하니까 그거 생각 나는데 말이죠. 그 왜 동전처럼 납작한 초콜릿 있잖아요? 그 은박지로 포장되서 한개 100원인가 50원인가에 팔던 잘 녹지도 않는 그거.

  초등학교때 친구네 형이 가르쳐 준건데, 그거 하나랑 단팥 호빵 하나를 사서 단팥 호빵 아랫쪽에 그걸 폭 하고 박아 넣어 버리면 호빵 열때문에 이게 녹아요. 입안에서는 잘 녹지도 않아서 드글드글 굴러다니던게.(...)

  그럼 이게 진짜 엄청 단데 묘하게 중독 되는 맛이었거든요?

  동시에 '아 이건 자주 먹으면 진짜 큰일 날 음식이구나...' 라는 생각이 딱 드는 맛이기도 해서 스스로 자제하게 되는 맛이랄까...(...)

  하여간 그 싸구려 초콜렛을 그나마 맛있게 먹는 방법이긴 했었죠.

  지금 먹으라면...어우...지병이 있어서...(...)


  2. 초콜렛 하니까 얼마 전에 좀 놀랐던게, 총무가 간식 먹으라면서 초콜릿을 주더라구요.

  이자식이 누굴 놀리나 싶어서 쳐다 보니까 "야, 이거 괜찮아. 무설탕이야."

  ???

  그런게 있어?;;;

  지네 삼촌도 당뇨가 되게 심하신데, 의사 선생님한테 Ok 받고 이건 하나씩 간식으로 드신다는거에요.

  아 그래? 싶어서 하나 먹고 좀 있다 혈당 재 보니까...어? 나쁘지 않게 뜨네? 이야 이거 신기하다...;;;

  맛은 뭐...이런 초콜릿에 고디바급을 바라지도 않았고 말이죠...

  근데 고디바 너무 맛있는거 같아요. 아 이거 왜이렇게 맛있지? 비싸서 그런가? 한조각 먹고 두시간 뛰는걸 감수할수 있는 맛이에요 진짜.(...)

  이런 음식들은 접할때 마다 생각하게 되는게...식품공학이라는게 진짜 대단한거구나 싶어요.

  개인적으로 좀 나와 줬으면 하는건 진짜 설탕에 가깝게 쓸수 있는 인공 감미료랄까...아스파탐은 열 받으면 멍텅구리 되고 삼성당은 잘못 쓰면 너무 써서...

  그래도 제로 콜라를 계속 생산 해 주는 코카 콜라 사에겐 감사할 따름입니다...라지만 이거 엄청 잘 팔린다죠? 미국에서 탄산음료 2위래던가?(...)

  근데 이거 상표를 물어본다는걸 계속 까먹네요. 벨...뭐랬는데 하여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공항아저씨
20/12/26 14:01
수정 아이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가 느껴지네요
모나크모나크
20/12/26 14:30
수정 아이콘
전 두 분 아이디가 항상 헷갈립니다...
20/12/26 15:36
수정 아이콘
고로는 배가 고프죠
요슈아
20/12/26 16:18
수정 아이콘
초콜릿에도 아스파탐 들어가면 되는 일이니까요.

저도 공복혈당 위험해서 소식하면서 제로콜라를 물처럼 들이키고 있습니다만 크크크;
여긴어디난누구
20/12/26 19:39
수정 아이콘
이런 일상이야기 좋습니다. 총무님이 주셨다는 초콜릿이 참 궁금하군요. 맛이야 뭐 다 비슷비슷하지 않겠습니까 흐흐 혈당 안오른다니 끌립니다
공기청정기
20/12/26 20:15
수정 아이콘
알아 봤습니다만 벨라르떼라는 벨기에제 초콜렛인가 봅니다.

근데 가격이 살벌하네요. 85그람짜리 판 초콜릿 하나에 9500원;;; 고디바급인데요?;;;
20/12/26 21:17
수정 아이콘
일상적인 이야기 너무 좋아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20/12/28 10:26
수정 아이콘
좀비랜드라는 영화보면 남주가 트윙키 못먹어서 안달이 난 캐릭터였지요 하하
그래서 저도 트윙키가 뭔지 한번은 먹어보고 싶은..키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9674 [일반] 사기(史記)급은 아니였던 다이애나의 영웅기(원더우먼1984 스포후기) [25] 판을흔들어라8957 20/12/28 8957 1
89671 [일반] 아도르노, 베토벤, 예술의 소외.. [18] 아난8138 20/12/28 8138 2
89670 [일반] 국제 무기 시장의 인도네시아 이야기 [35] 피알엘10979 20/12/28 10979 8
89669 [일반] [단편] 새벽녀 - 11 [8] aura8842 20/12/28 8842 2
89668 [일반] [역사] 미국은 대한민국을 어떻게 만들었나? [75] aurelius14878 20/12/28 14878 26
89665 [일반] 공정위 'DH, 배민 인수하려면 요기요 매각해야 한다'라고 확정 [43] 하얀마녀12401 20/12/28 12401 5
89664 [일반] 교회는 어떻게 돌아가는가 : 집사 ,권사, 장로 [89] SAS Tony Parker 19877 20/12/28 19877 4
89663 [일반] [도서] 아시아를 둘러싼 강대국흥망사: 1902-1972 [2] aurelius8649 20/12/28 8649 10
89662 [일반] 코로나 19 변이 바이러스 관련 정보 요약 [31] 여왕의심복12559 20/12/28 12559 70
89660 [일반] 한국(韓國)의 역할모델 [15] 성상우7602 20/12/28 7602 4
89657 [일반] 한국 로또의 불편한 진실 [41] 말할수없는비밀12937 20/12/28 12937 19
89656 [일반] [나눔] 스타벅스 크리스마스 e프리퀀시 스티커 나눔합니다. (종료) [20] 키비쳐5819 20/12/28 5819 1
89655 [일반] . [72] 삭제됨10760 20/12/28 10760 0
89653 [일반] 앞으로의 불교(佛敎)와 도교(道敎)의 전망 [12] 성상우7011 20/12/28 7011 3
89652 [일반] 90년대 애니메이션 한국판, 일본판 주제가 모음 [13] 라쇼11936 20/12/28 11936 2
89651 [일반] [팝송] AC/DC 새 앨범 "POWER UP" [11] 김치찌개7291 20/12/28 7291 3
89650 [일반] 교회는 어떻게 돌아가는가 : 목회자 [49] SAS Tony Parker 11466 20/12/28 11466 2
89649 [일반] 아스트라제네카 CEO 자사 백신 효과 자신... [91] 우주전쟁15458 20/12/27 15458 8
89648 [일반] [성경 교리]성경의 핵심 메시지는 하나님의 차별적인 사랑이다 [112] BK_Zju15370 20/12/27 15370 30
89647 [일반] 2021년 가보시길 추천하는 맛집리스트(2부, 데이터주의) [24] 판을흔들어라12094 20/12/27 12094 14
89646 [일반] COVID-19의 검사방법 정리 [10] 고등어자반8038 20/12/27 8038 1
89645 [일반] 해군의 대구함 고장 이야기입니다 [15] 피알엘10255 20/12/27 10255 2
89644 [일반] 정부 통계 기준. 올해 집값이 가장 오른 지역들은? [36] Leeka10734 20/12/27 1073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