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1/27 13:16:08
Name Leeka
Subject [일반] 전용면적 기준, 평당 1억이 넘는 아파트들은?

2020년 기준, 전용면적(3.3 당 1평) 기준으로 평당 1억이 넘는 아파트는 68개 라고 합니다.


평당 가격 순위로는 (2020년 신고가 기준)

1위 - 개포주공 1단지 -> 평당 1억 8086만원
2위 - 아크로리버파크 -> 평당 1억 4472만원
3위 - 래미안대치팰리스 -> 평당 1억 3776만원
4위 - 잠실 리센츠 -> 평당 1억 3734만원


순이라고 하며

지역 별로는

서울시 강남구 -> 38개
서울시 서초구 -> 23개
서울시 송파구 -> 5개
서울시 용산구 -> 1개
서울시 성동구 -> 1개

의 아파트가 평당 1억을 넘겼다고 합니다.

역시 강남 - 서초 - 송파..  3대장은 3대장인가 싶은 생각이.. 같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수미산
21/01/27 13:19
수정 아이콘
리센츠는 초소형이라 가능한가봅니다.
21/01/27 13:21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소형 평수가 있는 곳이.. 평당 가격은 높게 잡히기 좋죠.... (대형일수록 평당 가격은 내려가니까..)
분란유도자
21/01/27 13:20
수정 아이콘
2023년에 공급한다했으니 앞으로 3년간은 불장 지속될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어디에 부동산이 있느냐가 아니라 부동산이 있는 사람 없는 사람으로 나눠질것 같아요. 이번에 청약 되었으면

청합기
봄날엔
21/01/27 13:21
수정 아이콘
개포주공은 재건축때문에 저런 건가요?
21/01/27 13:22
수정 아이콘
넵.. 재건축 프리미엄.. 이라 그렇습니다.

재건축 프리미엄 빼면 아리팍 - 래대팰 - 리센츠.. 가 평당 가격 1~3위 라고 보셔도.
봄날엔
21/01/27 13:2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아리아
21/01/27 13:21
수정 아이콘
성동구는 트리마제?
용산구는 챌리투스?
네이버후드
21/01/27 13:28
수정 아이콘
아크로 포레스트 일거 같은데요
동네노는아이
21/01/27 16:06
수정 아이콘
성동구는 왠지 한강맨숀 재건축 같아요. 2채 받는 평형은 저가격 나가는듯
양념반후라이
21/01/27 13:21
수정 아이콘
뭐 이리 많아... 했더니 전용면적 기준이군요
그런데 리센츠가 엘스보다 비싼건 의외네요
하우두유두
21/01/27 13:43
수정 아이콘
15억이 안되서요
봄날엔
21/01/27 13:22
수정 아이콘
올해 하나 사고 싶은데 살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제발 우주의 기운이 와주길
CapitalismHO
21/01/27 13:41
수정 아이콘
리센츠 평당가 이상하지 않나요? 리센츠소형이라고 해봐야 평당7000~8000수준인데 저건 너무 높습니다. 리센츠 초소형은 13평인데 이게 18억이 나갈수가 없어서... 직방기준으로 매매가 쓱 봤는데 실제로 비싸야 10억안팍이고요.

그건그렇고 아선보다 엘스가 평당가가 비싼건 충격적이네요. 신축파워가 진짜 어마무시하긴 한가 봅니다.
피식인
21/01/27 13:44
수정 아이콘
전용면적 기준이라고 하네요.
CapitalismHO
21/01/27 13:46
수정 아이콘
아 그러게요. 글을 대충읽었네요 흐흐
21/01/27 13:56
수정 아이콘
리센츠가 연식이 15년 다되가는데 신축으로 쳐주나요?
신축이 워낙 부족해서 그런건가..
CapitalismHO
21/01/27 14:41
수정 아이콘
재건축된 아파트기도 하고, 구축/신축을 나눠서 부동산 투자를 논할때 줄곧 신축으로 분류했기 때문에 관습적으로 준신축(?)정도로 쳐주는 느낌입니다. 신축이라 하기는 사실 연식이 상당해졌죠. 크크
21/01/27 15:43
수정 아이콘
주차장과 엘베 연결, 대부분의 주차장이 지하에 위치, 2000년대 중반이후 건설한 아파트는 내부 수리만 하면 신축과 큰 차이 없는 생활이 가능하기는 합니다. 08년 이전 이 시기 아파트는 전실이나 광폭베란다 덕도 보기 때문에 신축 못지 않은 장점이 있는 경우도...
21/01/27 13:47
수정 아이콘
근데 평당 1억이 중요한지 모르겠네요. 요컨데 한남 나인원이나, 더힐 같은 경우는 평당 1억이 안된다고 되있지만, 초고급 아파트니까요. 청담쪽 빌라에도 그런데가 많구요. 이런식의 가격 경쟁은 별 의미도 없고 가쉽 이상도 아닌데 굳이 글로 나와야 하는 이유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안필드원정출산
21/01/27 14:12
수정 아이콘
저도 사실 평단가는 그다지 정보로서 가치가 높지 않은 자료라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면적이 다른 주택을 동일한 기준으로 볼 수 없죠. 가장 많은 국민평형 전용면적기준 84~85로 좁혀서 비교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어차피 한남더힐, 나인원 대형평형 가격 관심없잖아요. 대부분.
Cafe_Seokguram
21/01/27 14:31
수정 아이콘
그렇죠...

좀 더 팩폭하자면...한남더힐, 나인원 대형평형 가격이야 관심을 가질 수도 있죠.
다만 우리 국민 대부분이...거기 거주할 수 있는 소득이나 자산이 없죠...
여수낮바다
21/01/27 16:12
수정 아이콘
이재용 재산이 어쩌니 하는 건 애초에 오를 수 있는 나무도 아니었고 앞으로도 그럴 곳이라면,

개포주공 래대팰 리센츠 등은 4년 전만 해도 어지간한 흙수저도 노오력해서 충분히 얻을 수 있는 자산이었는데 최근 몇년 사이 그게 불가한 자산이 되어 버렸다는 차이가 있지요.

즉 최근 4년 사이 급격한 자산의 빈부차 악화를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곳들입니다.
metaljet
21/01/27 14:08
수정 아이콘
저층 재건축은 평당가 의미없고 차라리 대지지분으로 하셔야...
샤한샤
21/01/27 15:08
수정 아이콘
청실은 대체 왜 저렇게 비싼지 모르겠어요
대치동 반경 수 km내에 유일한 신축이라는것 ??
대치동에 향후 십년간 신축공급 없을것 같으니까 그 프리미엄으로 가는건가...
자연스러운
21/01/27 17:29
수정 아이콘
땅이비싸지 건물은별로 안비싸요
마르키아르
21/01/27 18:4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아크로는 왜 저렇게 비싼지 모르겠더군요 -_-;;

좋은 아파트 중에 하나라는건 당연한데..,

뭔가 가장 비싼 아파트가 되기엔 부족해 보이는데 말이죠.;;;
동네노는아이
21/01/28 09:18
수정 아이콘
이번 피디 수첩 보니까 뻥튀기 시켜논것도 크드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241 [일반] 김치 논쟁 등의 중국발 헛소리에 대한 저의 생각 [70] 오클랜드에이스9727 21/01/30 9727 23
90240 [일반] 노바백스, 얀센 백신 결과 업데이트 및 남아공 발견 변이 관련 전망 [17] 여왕의심복13050 21/01/30 13050 47
90239 [일반] 존슨앤 존슨 백신 소식 [19] NetGO10726 21/01/30 10726 0
90237 [일반] gme 공매도기관 파산하면 어떻게 청산될까요? [32] 싶어요싶어요18273 21/01/30 18273 7
90235 [일반] 100만엔의 여인들 - 짤막한 감상기 (스포일러 약간) [2] 아난10218 21/01/30 10218 0
90234 [일반] 방금 겪은 황당한 사건 (접촉사고) [24] Lovesick Girls15676 21/01/29 15676 4
90233 [일반] 후회 많고 손해 많은 인생에 후회 없고 손해 없을 영화 '소울' 후기 [21] 판을흔들어라9429 21/01/29 9429 2
90229 [일반] [육아는 템발] 개인적으로 유용했던 출산 준비 / 육아용품 [27] Hammuzzi13247 21/01/29 13247 40
90228 [일반] 게임스탑 스토리 [155] 라쿤맨19187 21/01/29 19187 51
90227 [일반] CGV VIP 원복 해준데요!! [31] CastorPollux10229 21/01/29 10229 0
90226 [일반] 연금이 고갈 나지 않는 방법이 생각났어요. [56] 좋은13017 21/01/29 13017 1
90225 [일반] 코로나 백신 접종계획 발표 요약 및 자주 묻는 질문 정리 [77] 여왕의심복15296 21/01/28 15296 84
90224 [일반] 괜히 본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 드라마 나의 아저씨 [44] 치카치카14648 21/01/28 14648 1
90222 [일반] 추억의 8,90년대 드라마 노래 모음 [17] 라쇼12796 21/01/28 12796 6
90221 [일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고령자 대상 효과에 얽힌 논란 정리 [6] 텅트7883 21/01/28 7883 4
90216 [일반] 환율이 심상치 않네요 [39] 피쟐러15426 21/01/28 15426 0
90214 [일반] 삼성이 M&A한다면 어디를 하면 좋을까요? [60] 흰둥10862 21/01/28 10862 0
90213 [일반] 이촌향도에 관한 간단한 이야기 [36] 올해는다르다12479 21/01/28 12479 2
90212 [일반] 2020년 백화점 매출 순위가 공개되었습니다. [62] Leeka13279 21/01/28 13279 3
90211 [일반] 게임스탑 간단한 해설 [47] chilling16112 21/01/28 16112 43
90210 [일반] 기억에 남는 일본 애니메이션 오프닝/엔딩 테마곡 BEST 40입니다. [7] 삭제됨13430 21/01/28 13430 1
90209 [일반]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발간한다는 새 철학 매거진과.. [9] 아난9318 21/01/28 9318 9
90208 [일반] 올해도 유니폼 사진을 올립니다. [14] 영혼의공원8029 21/01/28 8029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