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2/22 23:47:09
Name Leeka
File #1 스크린샷_2021_02_22_오후_11.37.38.png (174.1 KB), Download : 79
Subject [일반] 자가 / 전세 / 월세 / 무상으로 거주하는 사람은 몇%일까? (수정됨)



2019년 통계청 자료 기준으로는 위와 같이 집계가 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전체 가구의 58%는 '자기집에서 살고 있다' 

단, 서울은 42.7%로. 

다른 모든 행정구역은 절반 이상이 자기집에 살고 있습니다만. 서울에 한해서는 절반 이하가 자기 집에 살고 있습니다.


전세 - 보증금있는 월세 - 보증금 없는 월세 - 무상으로 임대의 경우 4가지로 구분되어 있으며

전세 : 보증금만 있고. 매달 돈을 안내는 경우
보증금 있는 월세 : 보증금도 있고, 매달 돈도 내는 경우
보증금 없는 월세 : 보증금 없이, 매달 돈만 내는 경우
무상 : 관사, 사택등..  으로 인해 무상으로 거주하는 경우

로 

전세의 경우 '서울, 경기, 세종, 광역시' 에서 높은 비율 (특히 서울은 4명중 1명이 전세로 살고 있습니다.) 을 기록하지만
그 외 지역으로 갈수록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파트,단독주택같은 비율별로는 최신을 찾진 못했고. 2015년 자료를 보긴 했는데
2015년 기준으로 서울 41.9% / 인천 53.1% / 경기도 54.9% 의 가구가 아파트에 살고 있습니다. 


기준이 '가구' 기 때문에. 실제 사람으로 환산시에는 정확하게 맞지 않긴 합니다만.
(아빠의 집에 사는 아들은 자가에 사는 사람이 되지만
이 아들이 독립해서 월세를 살게 되면 월세를 사는 사람이 되니..)
대략적으로는 알 수 있는 자료라고 보시면 될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여수낮바다
21/02/23 00:10
수정 아이콘
보증금 있는 월세 - 이건 흔히 말하는 반전세 정도 느낌일까요?
제주에선 전세 비율이 극히 낮고, 무상 및 보증금 없는 월세가 다른 곳에 비해 특히 높네요. 이유도 궁금합니다^^;;
21/02/23 00:11
수정 아이콘
그건 반전세부터 월세까지 다 포함되는 개념.. 입니다.

보증금 10억에 월세 20을 내도 보증금 있는 월세고
보증금 500만원에 월세 20을 내도 보증금 있는 월세라서..
21/02/23 00:24
수정 아이콘
제주는 특유의 년세가 있어서 보증금 없는경우가 많은겻 같네요
Regentag
21/02/23 00:55
수정 아이콘
보증금 없이 거주기간 만큼의 월세 금액을 선납하고 사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21/02/23 01:25
수정 아이콘
반전세라는 말을 누가만든지 모르겠어요

월세면 월세지
21/02/23 02:12
수정 아이콘
월세 싫어하는 국민들의 성향을 반영한 용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604 [일반] [경제] 채권 금리가 무엇이길래 시장이 이런걸까? [44] 김유라13819 21/02/26 13819 55
90600 [일반] "중국 바이러스!" 美 히스패닉, 애꿎은 한인 남성 무차별 폭행 [29] 이런이런이런11194 21/02/25 11194 2
90598 [일반] 뉴질랜드인과 CANZUK: 더이상 머나먼 다리가 아니다 [1] elaborate6148 21/02/25 6148 2
90595 [일반] PGR21 댓글 포함 글내용 검색 비활성화 [33] 당근병아리9838 21/02/25 9838 24
90594 [일반] 헌법재판소가 사실적시 명예훼손죄를 합헌으로 결정했습니다 [102] 나주꿀13665 21/02/25 13665 1
90593 [일반] 세부적 개연성이 부족한 중국 무협/판타지 드라마들.. [28] 아난8648 21/02/25 8648 0
90592 [일반] 톰과 제리 보고 왔습니다(노스포 후기) [27] 40년모솔탈출9553 21/02/25 9553 0
90590 [일반] 40대 대기업 퇴사 이후 사회적 사망 사례 [47] 양말발효학석사29627 21/02/25 29627 53
90587 [일반] 아버지의 치매 이야기를 듣던 중 내 손에 들린 위스키 한 병 [13] 행복을 찾아서9068 21/02/25 9068 14
90586 [일반] 애완견 이야기 [3] 싶어요싶어요5899 21/02/25 5899 1
90582 [일반] 왜 한국만 유달리 압도적 초저출산율을 보여주는 걸까 [301] 나주꿀26901 21/02/24 26901 68
90581 [일반] 나사...이 참을 수 없는 너드들을 어찌할고... [14] 우주전쟁12506 21/02/24 12506 10
90580 [일반] 요즘은 웬만한 대학생보다 양아치가 나은 것 같아요. [82] 메디락스16158 21/02/24 16158 9
90579 [일반] 어제 테슬라 폭락에 관한 분석기사들을 읽고 화가 났음 [63] 단비아빠14199 21/02/24 14199 5
90578 [일반] [세계][인구]2100년 세계 인구 예측치 [21] 라이언 덕후10888 21/02/24 10888 2
90577 [일반] 지난해 출산율 0.84명 '역대 최저'…사상 첫 인구 자연감소 [281] 탐사수22052 21/02/24 22052 19
90576 [일반] [영화] 2020년 영화 베스트 21 / 기대작 5편 [11] azrock13540 21/02/24 13540 12
90575 [일반] 심인성 발기부전인거 같습니다. [44] 몽블랑집안19586 21/02/24 19586 9
90574 [일반] 사람 사는 이야기 [2] toheaven5683 21/02/24 5683 3
90573 [일반] 집단우울증에 걸린 대한민국 아닐까요?? [132] 챗셔아이20586 21/02/24 20586 78
90571 [일반] 기계 때문에 직업을 잃을지도 모르는 테니스 심판들... [50] 우주전쟁14674 21/02/23 14674 3
90570 [일반] 노들섬 산책 [8] 及時雨7073 21/02/23 7073 9
90569 [일반] 스포츠계 학폭논란을 보면서 든 나의 생각 [49] 난할수있다11542 21/02/23 11542 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