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9/15 08:37:46
Name 시무룩
Subject [질문] 키와 근육의 상관관계에 대한 궁금증
정확히는 중량 운동에 관한 궁금증입니다
가장 보편적으로 하는 3대 운동을 기준으로 하겠습니다

키가 160cm인 사람이랑 180cm인 사람이 있다고 했을 때
둘이 똑같이 3대 운동을 한다고 치면 중량을 늘리기 쉬운건 어느쪽이 유리할까요

운동을 안한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180cm인 사람이 더 힘이 셀텐데
운동을 해서 중량을 늘리는데는(근육을 키우는데는) 키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질문을 간단하게 바꾸자면
키 160인 사람이 3대 500 들기
키 180인 사람이 3대 500 들기
저 수준까지 도달하는데 난이도가 똑같은가요 다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항정살
23/09/15 08:40
수정 아이콘
당연히 키 큰 사람이 더 쉽죠. 키가 크면 그 만큼 부피도 커지는 거니 근육도 더 많고 더 잘 붙죠.
시무룩
23/09/15 08:45
수정 아이콘
직관적으로는 그럴 것 같았는데 역시 그렇군요
장헌이도
23/09/15 08:59
수정 아이콘
근데 몸무게가 같으면(근육량이 같으면) 이동 거리가 짧아서 키 작은 사람이 좀 더 들 겁니다. 키 큰 경우 근육량 최대치가 더 높아서 최종적으로는 더 들 수 있을 거예요.
시무룩
23/09/15 09:08
수정 아이콘
동일한 근육량이면 작은 사람이 더 유리하다는건 들었습니다
근육량 최대치가 더 높다는건 운동을 했을 때 더 많이 오를 수 있다는 뜻인거죠?
장헌이도
23/09/15 09: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같은 근육량을 가지고 있을 경우, 이동 거리가 짧아지면 무게를 지탱해야 하는 시간이 적으므로 키 작은 사람이 조금 더 들 수 있습니다.
2. 같은 근육량을 가지고 있을 경우, 키가 작으면 좀 더 오밀조밀하게 붙어서 더 빵빵해 보입니다.
3. 그런데 결과적으로 골격이 받쳐준다는 가정 하에, 근육이 붙을 공간이 더 많으므로 최종적으로는 키 큰 사람의 포텐셜이 더 높습니다. 그러므로 키 큰 사람의 1rm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국 키 큰 사람이 몸무게 더 많이 나갈 가능성이 높으므로, 훈련하면 키 큰 사람의 한계가 더 높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런데 3대 500은 다른 문제인게, 저 수치 자체가 키 작은 사람의 한계에 있는 무게가 아닙니다. 아마추어가 도달할 수 있는 상위권의 근력 정도이기 때문에 아마 같이 훈련을 시작한다면 160이 먼저 도달하지 않을까 싶네요.
시무룩
23/09/15 09:28
수정 아이콘
아하 그러면 500까지는 오히려 작은 사람이 유리했다가 파워리프팅의 극한으로 갈 때는 큰 사람이 유리하다는거군요
문어게임
23/09/15 10:06
수정 아이콘
걍 작은사람이 다 이깁니다
마이스타일
23/09/15 09:07
수정 아이콘
윗 분 말씀처럼 운동 초보 (둘 다 근육량 낮음) 상태에서는 케바케겠지만 보통 키 작은 사람이 훨씬 잘 붙습니다.
시무룩
23/09/15 09:12
수정 아이콘
엇 작은쪽이 유리한건가요
첫 댓글분이랑 똑같이 생각해서 큰 사람이 유리할줄 알았는데 아니었군요
이정재
23/09/15 09:10
수정 아이콘
키작은쪽이 유리합니다
무게도 더 많이들고 같은양의 근육을 키워도 근육이 꽉차보이기때문에
보디빌더들 키 그렇게 크지않죠
시무룩
23/09/15 09:13
수정 아이콘
증량은 큰 사람이 유리할줄 알았는데 아니었군요
23/09/15 09:16
수정 아이콘
질문이 누가 근육이 잘 붙는가가 아니고 누가 무게를 더 잘 드는가라서 180이 유리할 것 같은데요
시무룩
23/09/15 09:18
수정 아이콘
다들 답변이 제각각이라 헷갈리네요 크크...
증량은 키가 큰 사람이 더 유리하겠죠?
제가 제목이랑 본문 중간에 근육이라고 써서 답변이 섞인 것 같기도 하네요
23/09/15 09:20
수정 아이콘
(근육을 키우는 데는) 이걸 넣지 마셨어야 했어요
하여튼 무게는 키큰 사람이 잘치고 근육은 키작은 사람이 잘붙어 보인다 이게 답변들의 공통사항 같습니다
시무룩
23/09/15 09:22
수정 아이콘
괜한 사족을 달아버려가지고 ㅠㅠ
그렇다면 얼추 생각했던게 맞는 것 같네요
23/09/15 09:23
수정 아이콘
키 150인 사람이 3대 600 들기가 쉬울까 190인 사람이 3대 600 들기가 쉬울까로 질문을 바꿔 보니까 이해가 되네요
시무룩
23/09/15 09:26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수치를 아예 극단적으로 가져가니 확 이해되네요 크크
문어게임
23/09/15 10:03
수정 아이콘
150이 쉽죠
교자만두
23/09/15 09:21
수정 아이콘
힘자체는 키큰사람이 기본적으로 더 세니까 유리하다.
미관상으로는 작은사람이 채워야할 근육이 큰사람보다 작으므로 바디빌딩에선 유리하다 정도..
시무룩
23/09/15 09:25
수정 아이콘
역시 그렇군요
샤한샤
23/09/15 09:39
수정 아이콘
키 작은쪽이 무조건 유리합니다.
근육을 멋지게 만드는것이 목적이 아니라 무게 치는게 목적이라면 무조건 키 작은게 유리합니다.
팔다리가 짧으면 더 좋습니다.

보디빌딩 관점에서 키 작은게 유리한건 이정재님이 잘 말씀해주셨고
힘 쓰는것도 키 작은게 훨씬 유리합니다.
모멘트암 토크 뭐 이런거까지 이야기할 필요 없고 세계 최고수준의 엘리트 운동선수들이 힘쓰는 종목 뭘 봐도 체급 대비 키가 큰 사람은 한명도 없습니다.
역도 레슬링 스트롱맨 뭘 봐도 (자기 체급 내에서) 키 큰 사람 단 한명도 없습니다.

아 근데 3대 500이라는 목표치가 있군요 흠.......
170하고 180하고 붙으면 170이 무조건 이길 것 같은데 160은 어지간히 타고난 힘 아니면 3대500 도달 못할 확률이 매우 높아보이긴 하네요
트윈스
23/09/15 10:32
수정 아이콘
스트롱맨중에 작은..사람이 있긴한가요 크크
이정재
23/09/15 11:00
수정 아이콘
팔다리 짧은쪽이 유리하죠
23/09/15 15:31
수정 아이콘
절대적인 무게는 키가 비교적 큰 게 유리하죠.
스트렝스 쪽 끝판왕 스트롱맨에서는 보통 190~205cm 정도가 이상적인 키입니다
HighlandPark
23/09/15 09:44
수정 아이콘
모든 중량운동은 거리가 짧을수록 유리해서 동일 조건이라 가정하면 키 작은 사람이 유리합니다.

같이 크로스핏 하는 사람들 중에 리프팅 제일 잘 하는 친구가 그룹에서 가장 작아요. 160대 초반인데 구경하면 무게가 움직이는 거리가 정말 짧습니다 크크
반대로 모델일 하는 키 190대 동생은 리프팅 정말 싫어합니다. 딱 봐도 무게가 움직여야 하는 거리가 훨씬 길어요. 특히 팔이 정말 긴데 숄더 프레스 같은 경우 어깨에서 정점까지 거리가 무슨..
대신 리프팅이 아닌 다른 운동 (예를들어 체조라던가 로잉이라던가) 들은 반대로 길이가 길수록 유리한 편이고.. 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이정재
23/09/15 11:01
수정 아이콘
체조가 길이가 길수록 유리하다구요? 혹시 제가아는 체조랑 다른건가요
23/09/15 11:32
수정 아이콘
어떤 체조를 말씀하시는건지.. 기계체조는 작을수록 유리한데..
문어게임
23/09/15 10:05
수정 아이콘
키 제외 모든조건 같으면 단신 압승입니다
댓글보면 키크면 몸무게도 따라온다고 생각하시는듯 한데요?
몸무게같으면 단신 승이죠
23/09/15 10:24
수정 아이콘
?????????????

댓글들 이상하네요. 왜 몸무게를 같다고 가정하나요. 160cm면 50~60키로인데 180cm 60키로 멸치가 한국에 몇명이나 있다고 둘을 비교하나요.

질문을 간단하게 바꾸자면
키 160인 사람이 3대 500 들기
키 180인 사람이 3대 500 들기
저 수준까지 도달하는데 난이도가 똑같은가요 다른가요?

[ 실링은 당연히 키가 클 수록 더 높고, 무게 올라가는 것도 당연히 키가 클 수록 더 빠릅니다 ]
김꼬마곰돌고양
23/09/15 12:08
수정 아이콘
질문 황밸이네요
시무룩
23/09/15 12:32
수정 아이콘
저도 이렇게 나올줄은 몰랐습니다... 느닷없이 밸런스 게임 하는 느낌이네요 크크
23/09/15 13: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곰곰히 생각해도 어렵네요.
검색을 해 보면 strongman기준으로는 키큰게 유리한 거 같습니다
그런데 strongman은 들고 "옮기는" 종목이 많아서
벤치나 데드, 스쿼트랑 비교하기는 어려운 것 같아요
옮기는 것은 키가 큰 게 유리할 것이거든요
strongman 유명선수들은 검색해보면 2미터 가까이되요..

하지만 단순히 중량 1rm은 작은 사람이 유리한 것 같습니다. 단순히 덤벨컬만 생각해도 전완이 길면 불리할것이고
이걸 극복하려면(짧은사람과 동일한 퍼포먼스를 내려면) 상완을 더 두껍게만들어야하는데
키와 무관하게 두껍게 키울수 있는 상완둘레의 한계가 있죠
즉, 상완길이 대비 상완둘레의 한계를 생각해보면.. 상완 둘레의 현실적 한계가 45cm이라고 할 때
(기네스북은 79cm입니다만, 사진을 보면 비현실적..)
160인사람이 상완둘레 40으로 좋은 퍼포먼스를 만들었고 180인 사람은 동일 퍼포먼스를 위해 45를 찍어야 한다고 가정하면
두꺼워지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이 되어서 1rm 퍼포먼스는 작은 사람이 유리할 것 같습니다

160 180 두명을 동일 체중으로 가정하면 무조건 160이 이길것이고
동일bmi(혹은 동일 체지방량, 즉 동일 체형)을 놓고 비교하는게 맞는거같은데 위와 같은 이유로 160이 유리하지않을까 생각합니다
리니시아
23/09/15 14:21
수정 아이콘
단순 3대 측정이면 키 작은사람이 유리할텐데
23/09/15 15:42
수정 아이콘
세계기록은 제가 기억하기에는 아마 키 191인 분이 가지고 있었고
국내기록은 키 172인 분이 가지고 있는 듯
23/09/15 21:47
수정 아이콘
키작은 사람이 절대적으로 근육늘리기가 쉽습니다. 세포크기를 생각해보시면 쉬울듯한데요.
하지만 글내용중 160cm 랑 180cm 가 문제가 되네요. 단기로 볼때는 160이지만 장기로 볼때는 180이 앞선다고 보시면 될것같습니다.
푸르미르
23/09/18 11:58
수정 아이콘
제 키가 187인데 PT 받으면서 트레이너한테 계속 들었던 얘기가 키가 작아야 근육 키우기도 쉽고 뭐든지 빠르다고 들었어요.
애초에 저는 힘이 약해서 쉽지 않네요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708 [질문] 마일리지 카드 질문드립니다 [12] Mattia Binotto6221 23/09/20 6221
172706 [질문] 늑골 3개 골절, 어떻게 관리하면 될까요? [10] ArcanumToss10265 23/09/19 10265
172705 [질문] 지금 비대면 진료(탈모약 처방) 시행이 끝난 것 맞나요? [2] 기억의습작12544 23/09/19 12544
172704 [질문] 중고책(생각 좀 하고 살아라)을 구하는 중인데 쉽지 않네요 [6] 일신7541 23/09/19 7541
172703 [질문] 후쿠오카 관광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及時雨8391 23/09/19 8391
172702 [질문] 워3 관련질문 [12] 海納百川7884 23/09/19 7884
172701 [질문] 오락실 펌프 잇 업 더블하시는 분 입문 할 때 레벨 몇부터 하셨나요? [13] 애플댄스8526 23/09/19 8526
172700 [질문] 취미로 재무제표 분석 하려는데 어떻게 입문하면 좋을까요? [17] 사람되고싶다7648 23/09/19 7648
172699 [질문] 코로나 이후 머리가 멍합니다 [5] 토스히리언7315 23/09/19 7315
172698 [질문] 평일 아침시간 산본/금정역 사람 얼마나 많을까요 [12] 시무룩7157 23/09/19 7157
172697 [질문] 도쿄 후지산 투어 질문 [6] 안할란다7057 23/09/19 7057
172696 [질문] 연휴에 여행 어디로 갈까요 [19] 어센틱8003 23/09/19 8003
172695 [질문] 휴대폰 카메라 가장자리 왜곡 [6] endand7874 23/09/19 7874
172694 [질문] lh 임대리츠 계약 문의 [2] DogSound-_-*6602 23/09/19 6602
172693 [질문] (강남)에 비해 저렴한 사무실 입지 좀 알려주십시오. [9] 장국영7066 23/09/19 7066
172692 [질문] 숨고도 사기가 있나요? [26] Eva0109567 23/09/19 9567
172691 [질문] PC조립, 이륙.. 이라기엔 뭐하고 시동 걸어도 될까요? [7] 마네8271 23/09/19 8271
172690 [질문] 마일리지 퍼스트 클래스는 예약 잡기 어렵나요? [14] 픽킹하리스7645 23/09/19 7645
172689 [질문] 듀얼심(물리) 써보신 분 계신가요? 듀얼심 이용관련 질문 [6] 5802 23/09/19 5802
172688 [질문] [벌레 사진 주의] 무슨 벌레인가요? [2] 코인언제올라요?7748 23/09/18 7748
172687 [질문] 소소하게 초능력을 선택할 수 있다면? [20] 시라노 번스타인7410 23/09/18 7410
172686 [질문] 집에서 영화보면서 먹을 야식 추천부탁드립니다 [9] Alcohol bear8482 23/09/18 8482
172685 [질문] 미국식 영어는 왜 r 발음이 영국식보다 강한 편일까요...? [13] nexon7983 23/09/18 798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