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2/16 10:37:39
Name WhiteBerry
Subject [질문] 해축 좋아하시는 직장인 분들은 새벽 경기 어떻게 즐기시나요?
어제 맨더비 전반만 보고 자서 이런글 올리는건 아닙니다만 크크

40대가 꺾이려고 하는 나이이고, 다음날 출근을 생각하면 새벽경기는 거의 포기해야 하더라고요.

어제처럼 새벽 1시 정도에 시작하는 경기가 거의 마지노선이고, 새벽 4~5에 하는 챔스나 라리가는 거의 못 보는 상황이구요.


요즘은 새벽 1시 언저리 경기도 보다가 잠들기도 하고, 새벽에 일찍 일어나서 보다가도 꾸벅꾸벅 졸기도 합니다.


뭐 결국 잠과의 싸움, 다음날 컨디션 조절의 문제인데

해축 좋아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즐기시는지 의견이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예전에 어디선가 다음날 스포 안당하고 재경기 보면 된다고 하기도 하는데
맞는말 같기도 하면서도, 출근해서 짬 날때까지 스포 안당하기가 어렵더라고요.
(출근하자마자 축구 켤순 없으니... 그러다 보면 김새서 결과 봐버리구요)

하이라이트만 보자니 결과 알면서 하이라이트 보는것도 흥미가 줄거들고...



팁 같은거 있으면 전수 부탁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2/16 10:39
수정 아이콘
저는 좀 일찍 출근해서 다시보기나 하이라이트만 챙기고 있습니다...
duck orion wkl
24/12/16 10:42
수정 아이콘
대학생때는 무지성으로 다 챙겨봤는데 이젠 하이라이트만 챙기게 되더라구요 ㅠ.ㅠ
소이밀크러버
24/12/16 10:43
수정 아이콘
저도 새벽 1시까지만 보고 잡니다. 저번에 후반전이 6시 15분에 시작하길레 일찍 일어나서 봤네요.
24/12/16 10:45
수정 아이콘
라이트팬인 저는 12시전 박싱데이/국대 급은 챙겨보고 아니면 출근길 하이라이트
선출이며 축구에 진심인 매제는 같은시간 약속잡힌거 아니면 다 보고 자더라구요.
그냥 악깡버 같습니다.. 나이들수록 힘들어지는것도 당연하고..
24/12/16 10:47
수정 아이콘
빅매치 아니면 잘 못보죠 뭐... 일반적인 경기는 하이라이트 정도만 보고 꼭 봐야겠다는건 일찍자고 새벽에 일어나서 봅니다.
FastVulture
24/12/16 10: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12시경기까지는 그냥 보고
1시경기부터는 평소보다 일찍 자고
새벽에 일어나서 보고 다시 자거나 출근합니다...

옛날 군대 야간근무 느낌...
Rorschach
24/12/16 11:27
수정 아이콘
그냥 포기했습니다 크크크

그래도 2~3년 전 까지는 보려고 좀 노력해보긴 했는데, 보다가 잠들거나, 진짜 대박 매치 아니면 보는 중에 집중도 잘 안되고 그렇더라고요.
정말 여유 있거나, 운 좋게 빅매치 다음날 휴일/휴가거나 하는 경우에나 가끔 보고 있네요. 그런데 한참 안챙겨보다보니 관심도 떨어지고 선수 이동도 잘 파악 못하고, 응원팀(아스날, 레알) 정도 제외하면 신성들은 누군지도 잘 모르게 되긴 하더라고요.
무적LG오지환
24/12/16 11:30
수정 아이콘
전 2시 넘어가는 경기는 숙면응원합니다 크크크
슬래쉬
24/12/16 11:58
수정 아이콘
어제는 다 봤고
평소에는 포기하거나, 보다 잠듭니다...
Jurgen Klopp
24/12/16 12:01
수정 아이콘
미리 잡니다...
20060828
24/12/16 15:11
수정 아이콘
피지알 스연게에서 하이라이트만 봅니다...크크
handrake
24/12/16 16:30
수정 아이콘
새벽 5시정도 경기라면 일찍 잡니다만,
이래도 피곤한건 매한가지라 결국 포기하게 되더군요.
24/12/16 22:11
수정 아이콘
K리그로 완전히 넘어 온 이유 중 하나입니다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102 [질문] 안전하게 태업하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요? [35] Garnett216032 24/12/21 6032
179101 [질문] 전기기사로 전업할려고합니다 [13] 장규리4736 24/12/21 4736
179100 [질문] 시중에 파는 김중에 최고는 어디껀가요?? [20] FlutterUser3603 24/12/21 3603
179099 [질문] PS4 안전모드 루프에서 벗어나려다 세이브 파일이 다 날아갔습니다. 수퍼카2497 24/12/21 2497
179098 [질문] 떠먹는 요거트 5~7일 지난거 먹어도 될까요? [26] 설탕물3367 24/12/21 3367
179097 [질문] 어제 듀오링고 1년 결제했는데 취소하고 패밀리로 재결제할수있을까요? [2] 밥잘먹는남자3616 24/12/21 3616
179096 [질문] 직장인분들 하루에 머리 몇번 감으시나요? [39] 앙금빵4318 24/12/21 4318
179095 [질문] 스타1)초반 t vs p 질문 겸 생각 듣고 싶습니다. [14] 틀림과 다름4176 24/12/20 4176
179094 [질문] 특수 건전지(23A 12V)는 어디서 사나요? [6] wook984023 24/12/20 4023
179093 [질문] 아다치 미츠루 작품 중 뭘 소장하면 좋을까요? [20] 달달한고양이3900 24/12/20 3900
179091 [질문] 무협소설 추천부탁드려요 [25] 오하이오3793 24/12/20 3793
179089 [질문] 올해의 드라마를 꼽는다면? [17] 캡틴리드3305 24/12/20 3305
179088 [질문] 엘든링 DLC구매 질문 [2] 낭만조사3244 24/12/20 3244
179087 [질문] 카톡 해킹으로 광고 메세지 전송 낭만조사2288 24/12/20 2288
179086 [질문] 별의커비 로보보 플래닛을 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한 방법이 뭔가요? [3] 설탕가루인형형2292 24/12/20 2292
179085 [질문] 닌테도 스위치 추가 질문드립니다 [6] 김카리2480 24/12/20 2480
179084 [질문] 원달러 환율 얼마까지 올라갈까요? [13] ArcanumToss3551 24/12/20 3551
179083 [질문] 초등학교 입학 선물로 가방 추천 부탁드립니다. [9] QuickSohee2545 24/12/20 2545
179082 [질문] 팔꿈치 타박상이 오래 가나요? [14] Mindow2643 24/12/20 2643
179080 [질문] 주택구매할때 대출 질문입니다. [7] 기술적트레이더3105 24/12/20 3105
179079 [질문] 코스트코 간식 추천부탁드립니다 [14] 월터화이트4006 24/12/19 4006
179078 [질문] 망리단길 소개팅 장소 있을까요?? [2] 라리3260 24/12/19 3260
179076 [질문] 노래를 찾고 싶습니다 [6] Fred again3279 24/12/19 32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