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2/09 19:56:26
Name nexon
Subject [질문] 요즘 다시 결혼 빨리 하는 추세가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최근 남녀 불문 결혼이 늦어져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기도 하는데요

의외로 요즘은 다시 서른 전에 결혼하려는 분위기가 있고 실제로 남녀 모두 빨리 결혼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하는데

혹시 그런 느낌을 받는 분 있으신지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25/02/09 20:12
수정 아이콘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209028512920
[코로나로 결혼관 바뀌었나…혼인 2년 연속↑·이혼 5년째↓ 전망] 2025.02.09
혼인건수 재작년 1.0% 늘어…최근 10년 새 플러스로 첫 반등

<혼인건수 감소>
2019년 전년대비 -1만8463건(-7.2%) 감소
2020년 전년대비 -2만5657건(-10.7%) 감소
2021년 전년대비 -2만995건(-9.8%) 감소
2022년 전년대비 -817건(-0.4%) 감소
2023년 전년대비 1967건(1.0%) 증가

최근 혼인 증가 이유
1. 코로나19 로 미룬 결혼이 성사되는 중
2. 정부의 출산·혼인 지원 정책
3. 젊은층의 인식변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85706?sid=101
[달라진 결혼·출산 인식…'둘째 아이' 출생도 늘었다] 2025.01.22.
2024 통계청 조사 기준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 2018년 48.1% -> 2024년 52.5%
‘아이를 가질 의향이 있다’ : 2022년 65.3% -> 2024년 68.4% (2018년 이후 처음 반등)
25/02/09 20:30
수정 아이콘
부모가 좀 잘 살면 서른 전~서른 쯤에 많이들 하던데 최근은 아니고 5년 10년된 트렌드인 거 같고 부모가 잘 살지 않는 경우에는 주로 일찍 하지 않는 것 같다고 느낍니다.
Far Niente
25/02/09 20:38
수정 아이콘
기술적 반등같다는 느낌도 있는데 또 한 흐름이 고착화되면서 나오는 반동같다는 느낌도 있습니다.
25/02/09 20:42
수정 아이콘
주변도르로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 자체는 많은데 생각을 갖고 있는것과 별개로 여러모로 현실의 벽에 부딪히는 느낌이 많습니다.
25/02/09 20:47
수정 아이콘
가장 답하기 어려운 커뮤 아닐지요 크크

40대가 가장 많을 텐데, 20대가 가장 적을 커뮤고요.

아이가 있어도 0~10대일 경우가 많을 것 같고요.
스토리북
25/02/09 21:05
수정 아이콘
네, 인식이 좀 바뀌었어요.
코로나로 밀렸던 결혼식이 밀려들면서 결혼식장 예약이 굉장히 어려워졌고,
덕분에 1년 밀려서 결혼식하는 게 다반사다 보니 결혼만 못한 결혼예비커플들이 늘면서 모임에서 결혼이 화두로 오르는 일이 잦아졌다고 합니다.
남들이 급하다 하면 본인도 괜히 결혼 생각해 봐야 할 것 같고 그렇다고 하네요.
30중반에 결혼하는 지인도 친구들에 비해 늦었다 하는 거 보면 분위기는 많이 바뀐 것 같습니다.
알라딘
25/02/09 21:10
수정 아이콘
제 개인적으로는 단순히 반등한게 아닌가 싶네요.
23년도->24년도가 합계출산율 0.72에서 0.74로 된건데 0.72가 너무 저점이었던게 아닐까요.
결혼도 마찬가지구요.
공염불
25/02/09 21:48
수정 아이콘
결혼에 너무 부정적이었던 여론도 이제 갈데까지 간 것 같고.
인식의 변화가 느껴지더라구요. 주위 MZ분들보면, 연애의 끝은 결혼이고 기왕 할거면 빨리, 아가도 빨리 나아야지 라는 마인드가 확연하던데요.
그래서 저같은 노땅 유부가 '니들 알지?결혼하지마~' 이런 농반진반도 못하게 되더라구요 크크
물론 주위 피셜이라 반박시 님 말씀이 맞습니당
This-Plus
25/02/09 22:27
수정 아이콘
늦게 갈 수록 결혼 시장에서의 가치가 소위 '폐급'된다는 밈이 잘 퍼져가고 있는 것 같...
손금불산입
25/02/09 22: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너무 심하게 늦어지니까 인식 변화는 있는 것 같긴한데 애초에 서른 넘어서 결혼하는게 다들 그러고 싶어서 그러던게 아니라 근본적인 해결책은 못될 것 같습니다. 30살 주변까지 안된 어린 친구들의 가장 큰 착각이 그 지점인 것 같아요. 연애든 진로든 뭐 대충 무슨 치명적인 실패 지점이 있으니까 30살 넘겨서도 결혼을 못하는거 아니냐는 생각.
유료도로당
25/02/09 23:56
수정 아이콘
주변피셜이라 조심스럽지만 약간 있는것 같습니다. 요즘 20후 30초 정도에 결혼하는 여성들이 좀 보이더라고요
FlutterUser
25/02/10 02:45
수정 아이콘
처남 얘기 들어보니까 요즘엔 결혼식장쪽이 점점 갑이 되어가는것 같던데요..
예전에는 대관료도 안받고 식대만 받는걸로 계약하는곳이 많아보였는데, 요즘엔 대관료 식대 둘다 받는데가 많은것 같더라구요
마르틴 에덴
25/02/10 07:39
수정 아이콘
결혼 좋다! 이런 얘기는 아니지만 비슷한 연령대 모이면 예전에는 헬조선이네 다 포기하네 이런 말들 자주 들렸는데 요즘에는 덜 들어요. 결혼 해도... 괜찮지 않을까? 정도로 생각이 바뀌는 것 같긴 해요.
25/02/10 08:31
수정 아이콘
제 주변에서는 전혀 없습니다.
도들도들
25/02/10 12:14
수정 아이콘
특히 여성들의 경우에는 친구들의 결혼 소식에 자극을 많이 받는 것 같더라고요.
리처드 파인만
25/02/10 16:09
수정 아이콘
제 주변엔 전혀 없습니다
25/02/10 16: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출산율도 거의 바닥 찍은거 같고..
요즘 결혼 안한 노총각 노처녀들이랑 딩크들도 워낙 많고 말도 많으니
젊은 사람들도 보면서 느끼는게 있을겁니다.

지금의 만혼이나 낮은 혼인/출산율도 전근대적인 여성 인권과 조혼 풍습에 대한 반작용인것 처럼요.
유행은 돌고 돈다고나 할까요.
평온한 냐옹이
25/02/11 13:22
수정 아이콘
제주변은 늘 결혼을 빨리 하던데요, 저도 20대중반에 했지만 제주변 사람들은 다 그정도에 했었고 한때 가르쳤던 학생들도 지금 20대초중반들인데 제법 많이 결혼 했어요. 아마도 20대가 가장 덜재고 부족해도 어리기에 기준에 부족해도 좋게 넘어갈수있는 시기이고 이시길 넘어가면 난이도가 확 올라가지 않나 생각해요. 정말 놀랬던게 가르치던 애들 20명쯤 모인자리에서 결혼과 자녀에 대해 물어보니까 전원 다 결혼과 자녀를 원하더군요. 특히 여자애들은 20대중반밖에 안되었는데도 20대 초반에 결혼하는 더 어린 애들때문에 상대적으로 초초해하고 스트레스 엄청 받는게 보였고요.

아 그리고 제생각엔 결혼 빨리 하는게 진짜 플렉스에요. 요즘 자녀나이에비해 젊은 외모를 자랑하는 컨텐츠가 많아져서 더 그런거 같더라고요.
25/02/11 21:05
수정 아이콘
드드드 감사합니다 @.@
Diadochi
25/02/12 10:37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작년 통계 기준 만 35세 남성의 80%가 미혼이던데
올해 들어 분위기가 좀 바뀐게 있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720 [질문] 얼마전에 발매된 동키콩 게임 질문입니다. [4] Ha.록1821 25/02/14 1821
179719 [질문] 가족여행 장소 및 숙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플래쉬2167 25/02/14 2167
179718 [질문] 단거 먹고 속 느글느글한거 해소법 있을까요? [46] 그느누늉2758 25/02/14 2758
179717 [질문] 부산 기장 근방 맛집 추천 부탁드려요. [12] egoWrappin'2484 25/02/14 2484
179716 [질문] 삼성qled 보급형 vs tcl 755 [5] 교자만두2647 25/02/14 2647
179715 [질문] 부모님 건강검진 시켜드릴려고 하는데 해보신분 있나요? [7] 라리2343 25/02/14 2343
179714 [질문] 뇨끼 잘하는 집 추천 부탁드릴게요. [7] 신촌로빈훗2647 25/02/14 2647
179713 [질문] 4070Ti, i5-13600KF, 이 사양으로 32인치 4K 모니터는 무리일까요? [8] 귀파기장인2919 25/02/13 2919
179712 [질문] 갤럭시 화면녹화를 이용한 zoom회의 녹화 하루아빠2087 25/02/13 2087
179711 [질문] 소주파가 좋아하는 일본 술은? [13] Abrasax2743 25/02/13 2743
179710 [질문] 외부에서 온라인으로 컴퓨터 켜기!? [8] Part.33011 25/02/13 3011
179709 [질문] 노트북 공동구매한다는데, 아무리 봐도 구려보여서 그냥 따로 살까 하는데 어떨까요? [3] 에어컨2762 25/02/13 2762
179708 [질문] 주1일에 100, 주일에 200... 주7일에 700... [35] 윌슨 블레이드3626 25/02/13 3626
179707 [질문] [금융] 예금보다는 단기채권인가요? [2] 거북왕2807 25/02/13 2807
179706 [질문] 데스크톱 이륙 질문입니다. [12] 윤지호2445 25/02/13 2445
179705 [질문] 도수 있는 보안경 추천 부탁드립니다 :) Broccoli1831 25/02/13 1831
179704 [질문] 약 1100만원정도 개인간 계좌이체시 세금납부나 문제될 여지가 있을까요? (차량거래) [15] 걱정말아요그대4095 25/02/13 4095
179703 [질문] 아파트 전세 보증보험 가입해야 할까요 말아야 할까요 [5] 홈스위트홈3645 25/02/13 3645
179702 [질문] 이자소득 종합소득세 관련 문의 [2] Right2841 25/02/12 2841
179701 [질문] 이런 경우 돈을 얼마씩 나눠야할까요? [13] INTJ3313 25/02/12 3313
179700 [질문] 공유오피스 사업을 하려고 합니다. [6] 똥꼬쪼으기2937 25/02/12 2937
179699 [질문] 주식,투자관련)지표 중 어느 것을 우선순위로 생각하시나요? [4] 수금지화목토천해1865 25/02/12 1865
179698 [삭제예정] 어머님이 보이스피싱을 당했는데 휴대폰 좀비화? 이럴수가 있나요? [21] 승승장구2976 25/02/12 297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