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8/09/23 16:56:38
Name 니시노 나나세
Link #1 네이버
Subject [스포츠] 씨름 천하장사 순위 (수정됨)
총 49회


이만기 - 10회 (1, 2, 4, 6, 7, 9, 11, 14~16)

강호동 - 5회 (18~20, 23, 24)

이준희 - 3회 (5, 8, 13)
백승일 - 3회 (28, 29, 31)
이태현 - 3회 (32, 38, 40)
김영현 - 3회 (36, 37, 42)


3연속 천하장사는 이만기랑 강호동 두 명이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감성이 용규어깨
18/09/23 17:00
수정 아이콘
이봉걸인가 그분 거인으로 유명하시던데.. 천하장사는 없군요.. 최홍만 없는것도 의외고..
니시노 나나세
18/09/23 17:03
수정 아이콘
이봉걸님은 천하장사 2회를 했습니다
감성이 용규어깨
18/09/23 17:04
수정 아이콘
아하 이 최 둘다 생략된거군요;
교자만두
18/09/23 17:00
수정 아이콘
이만기의 활약 년수가 엄청난데요? 16년?
미즈키
18/09/23 17:03
수정 아이콘
사실상 은퇴시기에 강호동이 이긴겁니다 ㅜㅜ 이만기가 10년만 젊었어도 진짜 개꿀잼이었을텐데
니시노 나나세
18/09/23 17:05
수정 아이콘
초창기엔 1년에 천하장사를 2~3회씩 해서 16년까진 아닙니다.
교자만두
18/09/23 17:06
수정 아이콘
아 감사합니다.
홍승식
18/09/23 17:03
수정 아이콘
16년 동안 이만기 10회, 이준희 3회 덜덜덜
위원장
18/09/23 17:09
수정 아이콘
천하장사 개최 빈도가 달라서...
18/09/23 17:21
수정 아이콘
1대가 83년이고, 16대가 89년이네요.
18/09/23 17:25
수정 아이콘
명절마다 천하장사 대회가 열렸으니 연 2회는 최소 열린건데 이만기는 말 그대로 80년대를 지배한거죠
지나가다...
18/09/23 17:32
수정 아이콘
이만기가 첫 대회에서 우승했을 때 한라급이었죠. 누구도 예상 못했던 우승이었습니다. 이준희가 강력한 우승 후보였는데... 천하장사 씨름대회가 대박이 터진 데는 이만기의 역할이 정말 컸습니다.
아나 아마리
18/09/23 17:33
수정 아이콘
어렸을적 할아버지가 김경수 선수를 많이 좋아하셔서 같이 응원 했었는데, 천하장사를 2회 하셨었네요.
3회 하는게 정말 쉽지 않는듯... 덜덜
18/09/23 19:52
수정 아이콘
들소!
손연재
18/09/23 17:45
수정 아이콘
와 이래서 천하장사하면 이만기 이만기 하는거였군요.. 전 그냥 강호동이랑 비슷한 수준인 줄 알았는데
필부의 꿈
18/09/23 17:50
수정 아이콘
선수로서의 커리어에 이만기에게 강호동을 비교하는건 이만기굴욕이죠
진짜 피지알에선 아는분 극소수일듯한 70년대 씨름판을 지배한
김성률씨라면 모를까
18/09/23 18:03
수정 아이콘
아는형님에 이만기 나와서 강호동한테 그랬죠
넌 나만큼 못해봐서 모른다고 크
The xian
18/09/23 18:08
수정 아이콘
천하장사에 있어서 이만기 장사는 다른 선수들과 비교불가 수준이죠.
The xian
18/09/23 18:07
수정 아이콘
심지어 이만기 장사는 1회 천하장사 때 경남대 2학년인가 재학중이었지요. 가슴에 파스를 붙이고 있었던가. 뭔가 붙이고 있던 게 기억에 남습니다.
ComeAgain
18/09/23 18:07
수정 아이콘
강호동 18~20이래서 18-20 시즌인줄;;;
러블리맨
18/09/23 18:09
수정 아이콘
씨름 전성기시절에 호리호리한 체격으로 이봉걸같은 거구를 넘어뜨리는걸 보고 엄청난 열광을 했겠죠.
forangel
18/09/23 18:30
수정 아이콘
이만기 vs 이봉걸 은 레전드죠.
현실판 다윗과 골리앗
Rorschach
18/09/23 18:39
수정 아이콘
21 22는 누군지 찾아보니 황대웅이라는 선수였군요
서린언니
18/09/23 21:22
수정 아이콘
황대웅선수도 정말 뛰어난 선수였는데 무릎 십자인대 부상이 너무 컸습니다.
부상 없었으면 3-4회는 했을 선수였어요
마르키아르
18/09/23 19:10
수정 아이콘
스포츠에서 만약에라는 가정이 참 부질없지만..

강호동이 어린나이에 은퇴 안하고 계속 했으면

이만기 기록을 깻을지 궁금하긴 하네요 ... 크크..
달밝을랑
18/09/23 20:05
수정 아이콘
강호동이 은퇴할 무렵에 시름판은 이미 기술 씨름에서 피지컬 씨름으로 넘어가고 있다는 소리가 많았지요
이후에 장사들은 체격이 슈퍼 헤비급들이 나왔으니깐요
강호동이 그들에 비하면 체격이 너무 작았죠
앙겔루스 노부스
18/09/24 10: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강호동이 120킬로그램 대였는데, 김정필 김경수 박광덕같은 150~60급 선수들이 나와댔으니...

그리고 그런 거구들이 역동적이지 못하고 시간끌다가 계체로 끝나는 경기들만 보이면서 씨름인기는 하락세로...

사실 그래서 씨름 후기 판타지 스타가 백승일이었죠. 젊고 잘생긴데다, "130" 대의 호리호리한 몸으로 거구들을 넘겨서. 그러나 오래 못갔고...

최후기에 이르러 김영현 이태현 최홍만같은, 150~60대지만 키가 190~200인 진짜 거인들이 나와 좀 운동선수 같은 무브먼트를 보여주긴 혔지만, 이미 씨름은 대중스포츠로서 끝장이 난 상태라... 그들중 둘이 격투기로 진출한거보면...
원시제
18/09/23 19:11
수정 아이콘
이만기는 임이최을 합친 수준이고, 강호동은 이영호 정도로 보면 되지 않을까...
오직니콜
18/09/23 19:50
수정 아이콘
이태현이 김영현 상대로 굉장히 영리하게 했던 기억이나네요.
치토스
18/09/23 20:04
수정 아이콘
이만기는 이미 전성기 지난 시점에서 강호동이랑 맞상대해서 진것일뿐 커리어는 이만기가 넘사벽이죠. 물론 강호동이 연예계 진출 안하고 계속 씨름판에 남았으면 달라질수 있었겠지만요.
18/09/23 20:47
수정 아이콘
강호동도 강호동이지만 백승일이 제일 아깝죠. 소년 장사에 얼굴도 잘 생겨서 강호동을 이을 모래판의 아이콘이 될 재목이었는데 커리어가 너무 짧았어요.
네오크로우
18/09/23 20:50
수정 아이콘
이만기, 이준희, 이봉걸 세대는 명절 때만 되면 tv 앞에서 다 모여서 씨름 보고 연휴 끝나고 학교 가면 모래판에서 죄다 씨름하던 시절이었죠. 크크크
밀로세비치
18/09/23 20:56
수정 아이콘
소년장사 백승일 참 잘했었는데
지니팅커벨여행
18/09/23 21:05
수정 아이콘
백승일도 덩치가 크긴 했지만 기술도 뛰어나 엄청 재미있게 잘했는데 부상때문에 결국 선수 생활 접었다고 하죠.
제 2의 강호동이 나타났다, 강호동을 넘네 마네 했는데...
처음과마지막
18/09/23 23:25
수정 아이콘
이만기 기술 씨름시대가 재미있었어요
언제가 부터 거인 초헤비급들이 나오면서 재미가 없어지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129 [스포츠] [mlb]개꿀잼 내셔널 서부지구 1위다툼 [16] 키토4131 18/09/27 4131 0
26127 [스포츠] [MLB] 오타니 시즌 22호.gfy [32] 손금불산입5313 18/09/27 5313 0
26125 [스포츠] 김영석 기자 나무위키 등판 [7] John Snow5532 18/09/27 5532 0
26123 [스포츠] KBO와 MLB가 접바둑으로 붙는다면?? [71] 플토는 나의 힘5060 18/09/27 5060 0
26120 [스포츠] [해외축구] 에당 아자르 원더 골.gif (11mb 데이터) [21] 아라가키유이6034 18/09/27 6034 0
26113 [스포츠] 디그롬의 2018년 최종 성적 [48] 물맛이좋아요5340 18/09/27 5340 0
26111 [스포츠] (해축) 잉글랜드 VAR 근황.gif [25] 라플비4435 18/09/27 4435 0
26101 [스포츠] 디그롬 9승 9패 마지막 등판 진행 중! [79] 청운지몽7524 18/09/27 7524 0
26100 [스포츠] [해외축구] 오늘 새벽 혼돈의 라리가 [23] 아라가키유이5806 18/09/27 5806 0
26091 [스포츠] 생각할수록 열받는 모 야구선수의 팬서비스.jpg [7] 김치찌개6757 18/09/27 6757 0
26083 [스포츠] 진심으로 심각해보이는 현재 맨유 팀분위기.gif [82] LOVELYZ811179 18/09/26 11179 0
26073 [스포츠] 사람 몸에서 가장 안좋은 해충은 뭘까요???? [21] AeonBlast5930 18/09/26 5930 0
26066 [스포츠] 두산우승 축하하는 박용택.gif [8] 은여우6035 18/09/26 6035 0
26065 [스포츠] [MLB]막바지에 접어든 2018 사이영 레이스 [22] 니시노 나나세4114 18/09/26 4114 0
26062 [스포츠] [해축] 무리뉴를 무너뜨린 램파드.gfy (5MB) [14] 손금불산입5176 18/09/26 5176 0
26057 [스포츠] 이수근채널 - 산체스의 당구교실 [6] Croove4374 18/09/26 4374 0
26052 [스포츠] [EPL] 무리뉴: 폴 포그바는 맨유의 주장을 맡지 못할 것이다. [49] 사파라7327 18/09/26 7327 0
26045 [스포츠] [아이즈원] 일본에서 끝판왕이 오실겁니다.(움짤) [19] 치열하게7179 18/09/25 7179 0
26035 [스포츠] [MLB] 오타니 시즌 21호.gfy [25] 손금불산입6238 18/09/25 6238 0
26031 [스포츠] 지금은 안해서 아쉬운 샤우팅 [5] 감성이 용규어깨5679 18/09/25 5679 0
26021 [스포츠] 한국 대 독일 이 라인업으로 붙으면 결과는??? [13] 표절작곡가5017 18/09/25 5017 0
26020 [스포츠] [NBA] 르브론 레이커스에서 센터로 변신?? [22] 김소혜3456 18/09/25 3456 0
26012 [스포츠] 모드리치의 위상은 어디까지 올라갈까 [59] SNMA7521 18/09/25 752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