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6/01/13 14:22:47
Name 공유는흥한다
Subject [스타2] 풀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을 채택한 리그들을 알아봅시다.
최근 여러가지로 이슈를 만드는 SSL은 리그 도중 진행방식을 풀 더블엘리미네이션으로 바꾸었습니다. 과거 MSL이 Stout MSL ~ CYON MSL까지 사용했던 방식이며 풀 더블엘리미네이션이 아니더라도 해외리그에서는 하부 리그를 더블 엘리미네이션으로 진행하거나 풀리그를 진행 한뒤 조 1위를 승자 4강에 2,3위를 패자전에 배치하는 독특한 방식까지 다양하게 사용 될 수 있습니다.
우선 MSL이 Stout MSL ~ CYON MSL까지의 풀더블엘리미 네이션 링크입니다.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003_Stout_MSL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003_TriGem_MSL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004_HanaFOS_CENGAME_MSL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004_SPRIS_MSL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004_You_Are_the_Golf_King_MSL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005_UZOO_MSL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005_LG_CYON_MSL

해외에서 사용된 변형 더블엘리미네이션입니다.

드림핵 윈터시리즈입니다.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DreamHack_ROCCAT_LotV_Championship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2013_DreamHack_Open/Winter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2014_DreamHack_Open/Winter

최근 블리자드가 인수한 MLG입니다.MLG는 너무 링크가 많은 관계로 역대 대회 링크로 대체하겠습니다.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MLG

더블 엘리미네이션과 관련된 나무위키의 내용입니다.
https://namu.wiki/w/%EB%8D%94%EB%B8%94%20%EC%97%98%EB%A6%AC%EB%AF%B8%EB%84%A4%EC%9D%B4%EC%85%98

자칫 잘못했으면 신희범,변현우 두 선수의 희생이라는 비극을 초래할 SSL이 풀 더블엘리미네이션이라는 카드를 어떻게 잘 활용할지는 미지수입니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는 최악에서 최선의 선택을 했다고 생각하고 조금 더 지켜볼 생각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1/13 14:26
수정 아이콘
다시봐도 스타우트 MSL 이윤열과 TG 삼보 MSL 최연성은 후덜덜하네요. 16강 첫판을 져서 패자조 첫라운드부터 시작해야했는데 그 지옥의 여정을 뚫고 최종결승까지 오다니
Finding Joe
16/01/13 14:31
수정 아이콘
도타 2의 TI도 풀 더블 엘리미네이션이죠. 작년 우승팀인 EG도 승자조에서 CDEC한테 지고 패자조 갔다가 최종결승에서 CDEC에게 갚아준 기억이 나네요.
공유는흥한다
16/01/13 14:33
수정 아이콘
도타2도 1차전 패배후 지옥에서 우승하면 엄청난 이슈가 되겠군요... 상금도 상금이지만..
서쪽으로 gogo~
16/01/13 16:29
수정 아이콘
mvp 피닉스? 핫식스 (헷갈림) 두 팀중 한팀이 TI5 패자조8강까지 올라가서 상금이 $90만 받고 온....
서쪽으로 gogo~
16/01/13 14:33
수정 아이콘
이번 시즌은 눈에 불을 켜고 감시하듯 봐야할 듯.. 더 이상의 삽질은 불허한다!
BlazePsyki
16/01/13 14:36
수정 아이콘
이미 바꾼 시점에서 최악의 리그 중에 하나로 꼽힐만한거 같기도 하고....
7시 반을 향하여 할때 참 허탈했는데 한번 다시 보긴 해야겠네요.
가로기
16/01/13 15:12
수정 아이콘
근데 안 바꼈어도 최악의 리그가 될 가능성이 높아서
시청자 입장에서는 경기수가 많아지니 좋네요
BlazePsyki
16/01/13 16:37
수정 아이콘
안바뀌었다면야 꼽힐만한거라는 말도 안썼겠죠. 지금에서야 경기수가 늘어서 좋기야 합니다만...
공유는흥한다
16/01/13 14:37
수정 아이콘
16/01/13 14:40
수정 아이콘
01 WCG 임요환선수야 예선+본선 전승으로 우승했기에 확실히 기억에 남았고, 02 WCG의 임요환선수는 조별리그에서 탈락직전까지 갈 정도로 고생한거랑 결승에서 홍진호선수 잡은것이외에 기억이 가물가물했는데 자료보니 더블 엘리 토너먼트는 순항했었군요. 당시 선수본인이 무소속이었던지라 여러가지로 임요환선수에게 절실했던 대회였고 그랬기에 무진장 달콤했던 우승으로 기억에 남습니다. 그리고 홍진호선수 역시 엄청 힘들게 결승에 올라왔었군요....
Liberation
16/01/13 14:50
수정 아이콘
저는 풀 더블 엘리미네이션보다는 분리형 더블 엘리미네이션이 낫다고 보는데... 일단은 지켜보게습니다.
잉여레벨만렙
16/01/13 14:56
수정 아이콘
최강자 검증에는 풀 더블엘리미네이션이 가장 적합하죠. 리그 중간에 룰을 바꾸는 촌극이 있었지만, 바뀐 안 자체만으로는 좋습니다.
RedDragon
16/01/13 15:14
수정 아이콘
요즈음 리그가 많이 열리고 있는 중국의 워3 대회들도 8강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 제도죠. 결승에선 승자조로 올라온 선수에게 1승을 더 주고 5판 3선으로 하고요.
16강 4인 1조 풀리그, 8강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으로 하는데 대회 진행이 깔끔하고 좋더라고요.
신예terran
16/01/13 15:50
수정 아이콘
워3대회는 전통적으로 더블엘리미네이션 제도 대회가 많았죠.
RedDragon
16/01/13 15:52
수정 아이콘
넵. 인기상 아무래도 중국리그가 많은데, 중국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제도를 좋아하는 것 같더라구요.. 거의 다 더블 엘리미죠~
전 이 방식이 제일 마음에 들긴 하네요.
몽쇌통통
16/01/13 15:58
수정 아이콘
이거 한눈에 알아볼수있는 표를 만드는게 시급한거 같아요 엠겜때도 위너스 결승 이겼는데 진짜 결승 끝난것처럼 대회 더 안보거나 왜 또 8강전해? 쟤 떨어지지 않았어? 결승을 왜 또해? 이처럼 매니아들이 아니면 헷갈려하며 몰입을 방해하게 만들기 쉬운 방식이예요
16/01/13 17:06
수정 아이콘
더블엘리 방식은 오락실 게임 개념으로 라이프2개라고 보면 되게 쉽죠.
결승까지 한 번도 안 진 사람은 라이프2개, 패자조에서 올라온 선수는 한 번 져봤으니 라이프1개고,
bo시리즈 한 번 지면 라이프 하나 없어진다고 보면 명료합니다.
레가르
16/01/13 17:57
수정 아이콘
만약 신희범선수와 변현우 선수가 8강에서 패배하고 패자조에서도 패배하면 상금과 WCS 포인트는 얼마나 손해를 보는건지..
화려비나
16/01/13 18:04
수정 아이콘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2011_MLG_Pro_Circuit/Providence

스2에서 풀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인해 스타가 되었던 대표적인 사례가 이동녕 선수죠.

2011년 시즌 MLG 모든 대회를 결산하는 챔피언쉽 격 대회에서 초반에 패자조로 떨어졌음에도 여기서 뚫고 올라오며 숱한 난적들을 꺾고 우승하던 모습이 아직도 기억나네요.
카스가 아유무
16/01/13 22:09
수정 아이콘
제가 이때부터 이동녕선수 팬이 됐습니다. 생방으로 보고있는데 대단했어요. 3일동안 39게임을 한것도 힘들텐데 기어이 우승하는거 보고 반할수밖에 없었어요. 그동안 세트전적이 34승 5패였으니까 정말 포텐 터졌을 때였죠.
화려비나
16/01/13 22:29
수정 아이콘
저도 이때 이동녕 선수 경기 생방으로 보면서 팬됐습니다ㅠㅠ
길바닥
16/01/15 08:07
수정 아이콘
특히 MLG는 오픈브라켓 시드라고해서 대회 현장에서부터 예선을치뤄서 4~6개의시드를 풀었던걸로아는데

이동녕선수가 여기에 들어가서 오픈브라켓으로 시드를따내면서 본선에 합류를 하고 이뤄냈다는게 더크죠..
하후돈
16/01/13 18:2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시즌2도 이 리그방식으로 했으면 좋겠습니다. 진짜 최강자라는 느낌을 주는 제도라 좋고 국내 양대리그로 하여금 확실하게 차별성을 갖게 해서 더 좋네요. 다만 그러기에 지금의 16강 종족밸런스가 너무나 아쉽네요. 늘어난 경기수 만큼 프프전과 저저전을 더 보게 될테니까요. 물론 늘어난 경기수 자체는 당연히 환영입니다. 피디의 아집이 들어간 기존 방식은 정말 최악의 방식이었으니까요.
Endless Rain
16/01/13 19:44
수정 아이콘
당대 최강자를 가리는데는 이거보다 좋은 방식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한번 지더라도 패자조에서 미친듯이 이겨서 올라왔던 선수들을 생각해보면요

격투게임 대회에서 이 방식 많이 사용하는데
보통 승자조에서 최종결승을 간 선수는 5판 3선을 한번만 이기면 되고
패자조에서 최종결승에 간 선수는 5판 3선을 두번 이겨야 우승하게 되는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왜냐면 승자조에 있던 선수는 한번도 패한적이 없으므로 똑같이 라이프 하나를 보정받아야 한다는 이유에서죠

그걸 감안한다면, 바뀐 SSL에선 맵 선택권이 아니라 1승 선취권 정도는 줬어야 합니다
더블 엘리미네이션이 사용되고 있는 중국 워크리그에서도 승자조에 있던 선수에게 1승을 주고 시작하는데
한번도 안졌으니 이정도 혜택은 줘야......
이미 발표된걸 또 번복하기는 좀 그렇겠으나
시즌2때도 똑같은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면 이 점에 대해서 논의하고 조정하는게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7판 4선이면 충분히 한세트 줘도 될법하다고 생각하거든요
하후돈
16/01/13 23:45
수정 아이콘
7판 4선보다는 아예 9판 5선으로 바꾼다음(공허의 게임시간상 9판으로 해도 된다고 보거든요) 승자조 우승자에게 한세트 주고 시작하는게 제일 괜찮을것 같아요.
저글링쫓는화염차
16/01/13 22:00
수정 아이콘
이 제도가 좋은 데에는 별 이견이 없으나 (단 결승전에서 승자 어드밴티지가 약해보입니다) 일단 8강까지는 진행하고 해야지 이미 이긴 선수들 새되게 만드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봅니다.
16/01/13 23:02
수정 아이콘
풀 리그 방식과 토너먼트 방식의 중간점으로 나름대로 장단점이 있다고 봅니다.
도타 2 디 인터내셔널도 이 방식인 걸로 알고 있어요.
이진아
16/01/14 03:00
수정 아이콘
솔직히 장점이 더 많은 방식인데
'아몰랑 복잡해' 로 쉽게 치부하는게 안타까워요
16/01/14 04:22
수정 아이콘
이미 16강 더블엘리라는 방식을 못 취하게 된 입장에선 최고의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2012년 code A같은 복잡한 리그방식이 간만에 보이니 신기하네요.
길바닥
16/01/14 11:13
수정 아이콘
정말좋은방식인데
복잡하다고 아몰랑해버리면할말이없습니다
Scatterbrain
16/01/15 10:34
수정 아이콘
승자조에서 올라간 선수도 최종결승에서 똑같이 라이프 하나를 보정받아야 합니다. MSL 시절에는 그러지 못 했고, 공정함이 없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555 [LOL] LCK 피드백 : 팀 명칭 표기의 일관성 [58] RookieKid10666 16/01/16 10666 4
58554 [LOL] 전용준 캐스터 드립 너무 재밌습니다. [47] aura12534 16/01/15 12534 7
58553 [스타2] 현 시점 스타2는 역사상 최고의 언밸런스이다. [54] 전략테란13831 16/01/15 13831 13
58552 [LOL] 돈 많은 해외팀들이 가장 부러워할 팀, 롱주 [25] 우소프12414 16/01/15 12414 0
58551 [기타] [TOS] 현재 리얼 불타는중인 X나무.... [80] 렌 브라이트13358 16/01/15 13358 1
58550 [스타2] 커뮤니티 피드백 [27] FloorJansen10815 16/01/14 10815 0
58549 [스타2] 7만 vs 6천 [87] 서쪽으로 gogo~13465 16/01/14 13465 5
58548 [LOL] 신챔프 진관련 영상. [6] 피스8038 16/01/14 8038 0
58547 [LOL] 아니 쉔 리메이크라니요?? [58] bymi14096 16/01/14 14096 0
58546 [LOL] 이거 리얼 꿀 진짜 개꿀 사기 탑 참치켄(?) 공략 [40] aura10437 16/01/13 10437 0
58545 [LOL] 우리 롤챔스가 달라졌어요! [92] Forwardstars15543 16/01/13 15543 17
58544 [기타] [트오세] 이 버그 누구 탓? [31] d5kzu9142 16/01/13 9142 3
58543 [기타] ARIA가 스마트폰 리듬게임으로 출시예정입니다. [9] Yang6499 16/01/13 6499 0
58542 [스타2] 풀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을 채택한 리그들을 알아봅시다. [31] 공유는흥한다7655 16/01/13 7655 0
58541 [LOL] e스포츠 팟캐스트에서 LOL 관련 소식이 있어 소개합니다. [57] 마빠이10560 16/01/13 10560 0
58540 [디아3] 서버 오픈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제목수정) [40] 그렐8608 16/01/13 8608 0
58539 [LOL] 간단하게 롤챔스 개막전 예상이나 해봅시다. [39] Tad9049 16/01/12 9049 2
58538 [스타2] 아케이드 게임 공모전 - Top 10 아케이드 맵 소개! + 한국맵 진출! [17] Jacky27220 16/01/12 27220 8
58537 [기타] [아가리오] 게임플레이 동영상 [5] cafferain5793 16/01/12 5793 0
58536 [스타2] 2016년 1월 둘째주 WP 랭킹 (16.1.10 기준) - 한이석&신희범 차트 복귀! Davi4ever6326 16/01/12 6326 0
58535 [디아3] 생초보 열흘 플레이 후기 [39] 기다9832 16/01/12 9832 0
58534 [스타1] 반트 스타리그가 마지막일까요? [34] 안드로마케12816 16/01/12 12816 3
58533 [LOL] [Replay HUD] 남탓은 이제 그만 [7] 고독한미식가14144 16/01/12 14144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