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04 22:37
문학에도 여러 주제와 사상이 반영되어 있으니 작가 풀이나 갈래를 늘려보는 건 어떨까요? 저는 요즘에 소설 읽다가 희곡을 많이 봅니다.
25/04/04 22:46
독서의 목적이 즐거움이시라면 상관없지 않을까요?
누구 보여주려고 하는게 아니고 다 자기재미고 자기만족인데요. 교양이 목적이시라면, 당연히 문학외의 장르로 장르를 넓히는게 절대적인 정보량에서 차이가 나니 도움이 됩니다. 뭐 자기계발서...는 조금 그렇고. 유명한 과학 철학 역사 관련 책을 넓혀서 읽다보면... 이것도 읽다보면 또 취향이 생기더라구요. 그러다가 배경지식이 쌓이고 그러면 독서가 더 수월해지고 그런식으로 재미가 붙기도 하고요.
25/04/04 22:51
전에 읽었던 책에 있었던 내용이긴 하지만
(자세히 어떤책인건 기억나지 않습니다.) 독서는 친구를 사귀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어차피 친구도 똑같지만 자기 취향에 맞는 사람하고만 평생 만나도 다 못 만납니다. 책도 마찬가지구요. 이렇듯 자기 취향에 맞는것도 다 만나기 쉽지 않은데 굳이 2-3배의 노력을 들여서 다른 장르를 이해할려고 하는건 쉽지 않습니다.
25/04/04 23:11
시대가 너무 좋아서 자기 취향의 책만 봐도 다 못보는 거 같아요. 독서를 위한 독서를 굳이 할 필요까진 없는 것 같네요. 저도 자기계발서나 베스트셀러류는 거의 읽지 않는 편인데 그렇게 걱정하지는 않습니다.
25/04/04 23:17
유행에 편승해서 휩쓸리는 독서보다 훨씬 좋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자기계발서는 돈낭비라고 생각합니다. 지식이나 사고의 확장 없이 너무 재미, 자극만 추구하는 책 선택만 아니면 본인이 좋아하는 분야 책만 읽어도 충분합니다.
25/04/04 23:30
독서 하다가 나중에 죽으면
독서리스트보고 야 넌 허접 장르소설만 읽었네? 너의 독서력은 D야 하고 누가 평가하는 것도 아니잖아요? 그냥 내가 읽고 싶은 것 읽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25/04/04 23:46
저와 아내는 독서 취향이 거의 정 반대에 가깝습니다.
저는 사회과학과 철학, 역사에 관한 책을 즐겨 읽는데 아내는 문학과 자기계발서를 즐겨 봅니다.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의 책을 한달에 한 권 이상 꾸준히 읽는다면 취미에 독서라고 말해도 된다고 생각 합니다.
25/04/04 23:52
(수정됨) 질문이 좀 이해가 안 되네요. 장르 문학만 읽으신다기엔 고전 문학도 읽으신다니까요. 원래 책은 취향껏 읽는 겁니다.
소설을 무시하지 마세요. 오히려 높은 경지에 있는 정신 감응(스티븐 킹의 말을 빌리자면)이니까요. 소설의 훌륭함을 이해하지 못하는 분들보다 훨씬 낫습니다. 장르 소설도 마찬가지입니다. 저도 종이책 좋아하지만 어쩔 수 없이 이북으로 타협해요.
25/04/04 23:54
자기가 읽고 싶은거 읽음 되죠!
저는 소설, 역사, 철학 아니면 흥미가 안 생겨서 읽어봐야 진도도 안 나가더군요 젊었을 때는 속칭 간지나는 작품들 위주로 보는 허세가 있었는데, 이제는 그런 것도 없이 일단 흥미가 가야 읽습니다
25/04/05 00:39
특정 장르에 치우치는 거야 말로 취미가 아닐까요?
순전히 제 경험이지만 다양한 장르를 읽는 분들은 독서를 취미라고 하기 보다는 자기개발을 위해 한다에 더 가까웠습니다.
25/04/05 01:07
본인이 과시용 독서를 하고싶다면 억지로 읽으시면 되고 취미로 독서를 하신다면 굳이 할 필요가 없어요. 모든 취미든 다 저런 부분들이 있고 하다못해 겜만 하더라도 난 fps 말고 다른거 못하겠다 하면 그것만 해도 게임이 취미인거고 롤같은겜이 아무리 인기겜이어도 내가 재미없으면 안하는거죠. 시도를 하는거야 자유인데 굳이 의무적으로 할당제 두며 이래야 트루-독서지 하는건 부질없다고 봅니다.
25/04/05 08:26
하다못해 독서 형태에 따라 질문자분의 앞날이 좌우될 것 같지도 않은, 정말 순수한 '취미'라면...... 그냥 질문자분이 원하시는 대로 읽으시면 될 듯 합니다. 그냥 읽기 편하신 책 읽으시고, 또 호기심 나시면 다른 종류의 책 찍먹해 보시고, '이 종류도 재밌네?' 하시면 계속 읽어 보시고, 아니다 싶으시면 다시 편하신 책 읽으시고 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25/04/06 15:06
저는 독서를 온전히 유흥의 차원에서 하는 편이라, 제 개인적인 관점에서는 그저 자신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을 즐길 수 있다면 그걸로 된 게 아닌가 싶습니다. 게임 장르 중 RPG와 어드벤쳐가 재미있어서 그걸 위주로 하는 사람이 구태어 소울 장르의 게임을, 그리고 본인 취향에 맞지 않는 최신 게임들을 섭렵해야 비로소 '게임을 취미로 즐긴다' 말할 수 있는 게 아니듯이요.
직업적으로 온갖 장르를 섭렵해서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전문 평론가가 기준이 된다면 모를까, 취미로서 충분히 즐기고 계시다고 생각합니다.
+ 25/04/06 15:24
답변들 다 읽어 봤습니다. 당연히 제가 과시용 독서를 하는게 아니고 순전히 제 즐거움을 위해 하는건데도 제 시간을 쓰는데 있어서 개인적으로 뭔가 자기계발(개발) 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이상한 강박같은게 있었나 봅니다.
이제는 좀 내려놔도 될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 의미에서 어제 20만원 어치 미스터리, 추리소설 주문 넣어뒀습니다. 당분간 즐거운 시간이 되겠군요. 답변 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 25/04/06 16:14
저도 독서 좋아하는데 이렇게 책얘기 나눌 수 있는 기회도 흔치 않아 안타까워요
책을 많이 봐서 지식이 많아지거나 글을 조리있게 잘 쓴다까지는 안되더라도 간접경험이나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이렇게 깊게 공유한다고 생각하면 부담스럽지 않은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