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4/20 07:33:58
Name 싱싱싱싱
Subject [질문] 상조 서비스를 미리 가입해야 좋나요?
미리가입했다가 회사가 망하기도 하는 등 문제가 많던데요
그냥 상 당하면 장례식장에서 연결된?상조서비스 이용하는게 나은거 아닌가요?
상 당하는 모든 사람이 미리 가입하는 것도 아닌데 다들 장례는 무사히 치르는것 같아 궁금하네요
부모님께서 연세가 드시니 좀 가입해야하나 고민하셔서 잘 아시는 분께 여쭙니다
상 당하고 알아봐도 문제 없는건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eotaiji
25/04/20 08:51
수정 아이콘
아버지가 갑자기 돌아가셔서 상조고 뭐고 없었는데 (애초에 상조가 필요하단 생각을 못했습니다)
제수씨가 가입해놨던 상조회사가 양도 가능한거라 아버지 보내드렸습니다

이후에 상조가입했는데 납부하다가 결혼하게 되면 결혼으로 쓸수 있고 여러가지 서비스가 있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 가입해놓는게 좋지 않나 싶어요.
싱싱싱싱
25/04/20 09:30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그게 그냥 바로 신청해서 하는것보다 서비스나 진행과정에서 더 매끄럽고 그런건가 해서요
미리 가입하는것도 나쁘진 않나보군요
감사합니다
복타르
25/04/20 09:49
수정 아이콘
저는 병원내 장례식장을 통해서 모두 진행했습니다.
다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경우도 많아서 상조보다 그냥 적금 드는게 더 나은 것 같아요.
상조보다 좋은 장지를 미리 알아봐두시는걸 추천합니다.
싱싱싱싱
25/04/20 10:57
수정 아이콘
아..네 감사합니다
수퍼카
25/04/20 10:45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fAmN7jGNvXo

이 영상 한번 보시고 나서 결정하세요. 전 부정적입니다.
싱싱싱싱
25/04/20 10:59
수정 아이콘
다음은 해당 비디오의 주요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 상조 서비스 산업 개요
* 상조 서비스 시장은 상당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총 회원 납부액은 약 8조 원에 달합니다 [02:34].
* 약 700만 명의 고객이 매월 약 20,000원을 납부하고 있습니다 [02:44].
* 상조 회사의 수익 구조
* 고객은 상조 서비스를 미리 결제하지만, 실제 서비스는 훨씬 나중에 제공됩니다 [11:08].
* 받은 돈은 서비스가 제공될 때까지 수익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11:19].
* 장례가 발생하면 회사는 서비스당 약 500만 원의 수익을 인식합니다 [11:37].
* 장례 서비스 제공 비용은 수익의 약 절반이며, 나머지는 이익으로 남습니다 [20:48].
* 회사는 선불금을 활용한 금융 투자로 추가 수입을 올리기도 합니다 [16:20].
* 상조 회사의 재정 상태
* 최상위 회사인 "프리드라이프"는 수익성이 좋지만, 다른 많은 회사는 그렇지 않습니다 [18:44].
* 일부 회사는 상조 서비스 운영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상쇄하기 위해 금융 수입에 의존합니다 [19:04].
* 회사는 선불금을 받고, 이 선불금의 50%를 적립해야 합니다 [17:51].
* 일부 회사는 필요한 금액을 적립하는 대신 은행에 지급 보증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27:09].
* 우려 사항 및 위험 요소
* 상조 회사가 재정을 얼마나 잘 관리하고 공개하는지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46:39].
* 일부 회사는 부동산에 투자하거나 관련 법인에 돈을 빌려주는데, 이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49:02].
* 회사가 신규 회원을 유치하지 못하거나 많은 회원이 계획을 취소하면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54:55].
* 권장 사항
* 영상에서는 현재의 50% 적립금 요건이 너무 낮을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55:15].
* 상조 서비스에 선불하는 대신 별도의 은행 계좌에 돈을 저축하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52:16].
* 상조 회사를 선택할 때는 재무제표를 검토하여 회사의 안정성을 평가하세요 [37:12].
* 상조 서비스 산업은 금융 산업과 유사하게 더 나은 감독이 필요합니다 [56:00].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제미나이 요약본입니다
감사합니다!!
25/04/20 12:33
수정 아이콘
상조 , 치과 이 2개는 거의 쓸모가 없어요
까우까우으르렁
25/04/20 12:46
수정 아이콘
상조회사 1년 다녀본 사람으로 상조는 필요하다. 하지만 미리 갖고 있을 필요는 없단 판단(상조회사 도산 등에 대한 피해)에
후불식상조 두어군데 알아두고
필요시 후불식 상조를 쓰려고 합니다
25/04/20 14:30
수정 아이콘
상조에서 해주는 대부분은 장례식장에서 더 저렴한 가격으로 할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싱싱싱싱
25/04/20 16:49
수정 아이콘
여러분 모두 감사합니다!!^^
우상향
25/04/20 17:23
수정 아이콘
최근 몇 년 간 가까운 친인척 장례를 3회 치뤘는데 전혀 필요 없었습니다. 장례식장 자체 서비스(옵션)랑 중복되는 부분도 많아서 번거로운 일만 많아져요. 게다가 유가족이 다니는 회사에서 지원되는 장례 서비스까지... 가뜩이나 신경쓸 게 많은데 사공도 많고 노 젓는 사람도 많아서 복잡해요.
다만, 삼촌 같은 친인척이 거의 없고 형제자매도 없이 외동이고 회사에서 장례 서비스되는 것이 없다면 가입해도 괜찮을 것 같긴 합니다. 혼자라면 빈소 지켜야 돼서 다른 부분에 신경쓸 수가 없기 때문에 업체에 일임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격렬하게쉬고싶다
25/04/20 17:55
수정 아이콘
왜 상조에 가입하면 이것저것 선물을 주겠습니까 ㅜㅜ
25/04/20 21:36
수정 아이콘
월납입하는 상조 상품 말씀하시는거같은데, 상품설명에서 명의이전이된다고 하지않나요..?
당근에 몇개월씩 납입한거 다 팔더라고요...
이쥴레이
25/04/20 23:52
수정 아이콘
장례식장에서 그냥 연결 다 해줍니다. 상조회사 가입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진짜 제일 필요없는거라고 생각합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5/04/21 00:18
수정 아이콘
부모님이 간혹 심리적 안정때문에 요구하는 경우는 필요하죠. 제 엄마의 경우도 아빠가 비명에 세상을 뜨고 심리적으로 취약할 때, 성당에 나가다가 평화상조에 가입하고 싶대서 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몇년 지나고 심리적 안정을 회복하고서는 그거 뭐 필요하냐, 하고 엄마가 먼저 말해서 해지했었네요. 저는 그때나 해지할 때나 필요없다고 생각했구요. 장례식장에서 잘 해줍니다. 오히려, 상조회사 측과 장례식장이 알력이 나는 경우도 있기도 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8683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1617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0957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3958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5808
180380 [질문] 특정 사상을 게임에 넣은 제작자는 제제가 없나요? [9] 물소2037 25/04/20 2037
180379 [질문] 상조 서비스를 미리 가입해야 좋나요? [15] 싱싱싱싱3265 25/04/20 3265
180377 [질문]  고급 영작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4] 미키맨틀3601 25/04/19 3601
180376 [질문] 2000년대 초반 편의점에서 팔았던 과일소주를 찾습니다. [3] 카서스4046 25/04/19 4046
180375 [질문] 서재에 놓고 쓸 모니터 큰 가성비 노트북 추천부탁드립니다. [4] 선플러3675 25/04/19 3675
180374 [질문] 원래 당근 알바는 약속을 안지키나요?? [19] 좋습니다4574 25/04/19 4574
180373 [질문] 헬스장에서 하루에 딱 4가지 머신만 이용한다면 어떤 것을 하는게 좋을까요? [9] 10KG빼기2784 25/04/19 2784
180372 [질문] 신촌 식당 / 디저트(카페) 추천 부탁드려요 [5] 잉차잉차1676 25/04/19 1676
180371 [질문] 아치깔창 써보신 러너분들 있으신가요 [5] 노래하는몽상가2702 25/04/18 2702
180370 [질문] 포지션 제안 받았을 시 자기소개서 [2] Mini Maggit3134 25/04/18 3134
180369 [질문] 낼 성심당에서 케잌 현장구매 가능할까요? [10] 월터화이트2916 25/04/18 2916
180368 [질문] 신차 인수거부하는게 맞겠죠? [15] 본좌4102 25/04/18 4102
180367 [질문] 자동차 명의변경 관련 질문 있습니다 [3] 흩어져버린기억1975 25/04/18 1975
180366 [질문] [LOL] 옛날 결승전 슬로우모션 사건 [6] 리니시아2618 25/04/17 2618
180365 [질문] 카카오톡에 뜨는 이 광고 믿을만한 것일까요...? [7] nexon2945 25/04/17 2945
180364 [질문] 운동화 안에 계속 생기는 이게 도대체 뭘까요? [2] 귀여운호랑이3337 25/04/17 3337
180363 [질문] 1주택 갈아타기 할때 부동산 한 곳에서 하는게 좋을까요? [11] 해운대살아요2900 25/04/17 2900
180362 [질문] (PC) 저소음 케이스 팬 질문 있습니다 [4] 콩돌이1848 25/04/17 18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