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2/11/29 13:49:41
Name 산타
Subject [일반] 박, 문, 안후보의 의료정책에 대해...
<< 대선후보들 공약으로 암환자 비용 계산해보니… >>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30121123073752

위 기사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환자 A씨의 백혈병 입원예)  1억1300만원 중, 4372만원 본인부담 :
  2005년 백혈병(혈액암)에 걸리고 의료급여 수급자가 된 A 씨는 4개월간 입원해 골수이식과 항암치료 등을 받았다. 2006년 1월 끝내 숨진 A 씨의 총 진료비는 1억1300만 원. 그 가운데 A 씨의 유가족이 최종적으로 병원에 낸 돈은 4372만 원이었다. 하위 15% 계층이었던 A 씨의 가계가 파탄났음은 물론이다.

* 박근혜 후보의 공약) 1008만원 본인부담 :
  박 후보가 답변서에 언급한 것과 같이 '3대 비급여' 항목을 당장 건강보험에 적용하지 않고 치료재 등 나머지 비급여 항목들을 전부 건강보험에 포함한다면, A 씨가 내야할 진료비는 1008만 원(본인부담금 16만 원+선택진료비 814만 원+ 나머지 비급여 진료비x본인부담률 5%)이다. 1008만 원 가운데 선택진료비만 814만 원이 청구된다.

* 안철수 후보의 공약)  41만원 + α(최소 0원, 최대 3583만원) 본인부담 :
  안 후보가 대선 공약대로 '3대 비급여 항목'을 급여화한다면, A 씨는 선택진료비 814만 원 가운데 773만 원을 추가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받는다. 나머지 3583만 원의 비급여 진료비에 대해 안 후보는 "의학적 필요가 인정된 항목을 최대한 건강보험에 적용"하기로 했지만, 어느 정도까지 적용할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 문재인 후보의 공약) 100만원 본인부담 :
  문 후보·심 후보가 공약대로 비급여를 전면 건강보험에 적용한 후 '연간 본인부담금 상한제'를 실시한다면, A 씨는 100만 원(심 후보의 경우 50만 원)만 내면 된다. 반면 이들 후보가 비급여 항목을 건강보험에 전혀 포함하지 않은 채 '연간 본인부담금 100만 원 상한제'를 실시한다면, A 씨가 내야할 돈은 4372만 원 그대로다. 2006년 A 씨가 낸 본인부담금(16만 원)이 이미 100만 원 미만이기 때문이다.

============================================================================

현재도 100만원 상한제까지는 아니지만, 소득에 따른 200-400만원 상한제가 실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 가정에 중증환자가 생기면, 가계파탄에 이른다는 것은 여전히 상식으로 통하고 있습니다.
이는 중증환자의 경우 비급여 항목(100%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선택진료비, 간병비, 상급병실료, 비급여 항암제 등)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건강보험 보장율이 58%(일본 80%)에 지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국민들이 그다지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가정에 중증환자가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건강보험 비용이 낮기 때문에, 큰 병에 걸리지 않는 이상 별 문제가 없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그러나, 점차 고령화되는 시대에 살고있는 우리로서는 암 등의 질병에 대해 고민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 되었고,
그런 의미에서 세 후보의 의료정책은 기본적으로는 나쁘지 않다고 느껴집니다.

============================================================================

<< 한국, 경제규모 대비 건보 보장률 '세계 꼴찌'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777982

위의 기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내놓은 [의료보장 강화 방안] 입니다.
내용을 요약해보자면,

*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400만원 상한제를 100-300만원 상한제로 바꾼다.
* 보험료 기준 하위 10% 저소득층 약 345만명의 본인부담률을 낮춘다.
* 선택진료료나 상급병실을 폐지하는 한편 간병서비스나 초음파·MRI 진단 등을 건보 급여 항목에 포함.
* 5년간 37조원의 재원소요.(모든 소득과 소비세에 건보료를 부과해 23조원을 마련하고 예방·검진 강화와 효율적 지출을 통해 14조원을 줄이면 소요 재원을 확보)

============================================================================

5년간 소요되는 37조원 중에 23조원을 세금으로 충당하겠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대략 연간 4.6조원 가량을 세금으로 충당하겠다는 것입니다.
이 방안에 중산층의 건보료를 월 5000원씩 올려서 재원을 충당하겠다고 한 문후보의 계산을 대충 적용해 보겠습니다.
* 추측이 많이 들어갔으므로 엉터리 계산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많은 지적 부탁 드리겠습니다.

정확한 중산층 건강보험 납세자의 인구수를 모르기에, 대략 1200만명 정도로 추측하여 계산해 보겠습니다.
12000000 * 5000 * 12 = 720000000000(7200억원)
중산층 이외의 계층에서 세금을 많이 부담한다고 생각해도 1.5조원 이상의 세입은 불가능할 듯 합니다.

단순계산으로만 생각하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내놓은 [의료보장 강화 방안]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중산층 각 가정에서 월 15000원의 추가 납세가 필요하다는 계산에 이릅니다.
거기에 현재 의료수가가 원금의 76-80%밖에 되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의료수가도 원금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고 맙니다.(현재 의료인들이 급여항목에서 손해보고 비급여 항목에서 채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전면적인 급여전환만이 시행되고, 의료수가는 그대로라면, 의료인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됩니다.)
이렇게 되면, 금융소득에 대한 납세까지 감안하더라도, "시행하고 싶으면 만원 더~~" 를 외칠 수 밖에 없을거라고 봅니다.

또한 이것은 문 후보가 주장하고 있는100만원 상한제를 기준으로 한 예산이 아닌, 100-300(중산층 200만원)상한제를 기준으로 한 계산입니다.

============================================================================

그러면, 여기서 세 후보의 정책을 통해 장점과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박근혜 : 암, 심혈관, 뇌혈관, 희귀난치성질환 등 4대 중증질환에 대해 단계적으로 보장성을 강화.
    * 장점 : 상대적으로 국민의 부담이 적은 현실적인 방안.
    * 문제점
        - 진정으로 시행의지가 있는지 의심됨.
        - 민영의료화가 시행될 가능성이 높음.
        - '3대 비급여 항목'이 여전히 부담.(위의 예시는 선택진료비만 계산된 경우이나, 24시간 간병비, 상급병실료까지 포함되는 경우에 여전히 가계파탄이 우려됨)
        - 민영보험사의 반발 우려.

2. 문재인 : 의료비 100만원 본인부담 상한제
    * 장점
        - 건보료가 매월 2-5만원정도 상승한다고 해도 사보험 지출을 생각해보면, 많이 남는 장사.
        - 민영의료화 시행의지 없음.
    * 문제점
        - 의료쇼핑으로 인한 폐해 우려.
        - 민영보험사의 반발 우려.
        - 사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국민의 반발 우려.
        - 고령화 진행에 따른 재정악화 우려.

3. 안철수 : 의료보장체계를 '저부담-저급여'에서 '적정부담-적정급여' 체계로 전환해 건강보험 보장성을 OECD 회원국 평균인 80%까지 확대.
    * 장점
        - 상대적으로 국민의 부담이 적은 현실적인 방안.
        - 민영의료화 시행의지 없음.
    * 문제점
        - 비급여 진료비가 악용될 우려가 있음.(박근혜 후보에 비해서는 중증환자에게 부담이 덜 될것으로 추측)
        - 민영보험사의 반발 우려.

============================================================================

의료정책은 국민의 건강과 행복에 직결되는 사안으로서 그 어떤 공약보다도 주목해야 할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세 후보의 정책은 시행여부를 떠나서 나름 의미가 있다고 보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안철수 후보의 정책이 가장 현실적이지 않나 싶습니다.

만약 제가 후보라면,
* 현재 200-400만원 상한제 -> 300-500만원 상한제로 상향 조정.
* 3대 비급여 항목에 대해 전면 급여전환.
* [비급여 진료비->급여]를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
* 중산층 기준으로 월 10000원 증세 + 금융소득에 대한 납세 시행.
* 의료수가를 원금 수준으로 상향조정.
* 민영의료화 반대.
정도의 정책을 내놓을 것 같네요.


여러분은 의료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매사끼
12/11/29 14:10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거 문-안 토론회에서 내용 듣고 상당히 중요한 이슈가 될거라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언론에서도 조용하고 사람들도 관심이 없어서 의아해하던 부분이었습니다.

저는 한국이 살만한 나라가 되기 위해서는 "주거비, 의료비, 교육비"가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문재인 후보의 정책이 상당히 급진적이고 파격적이지만 그 방향은 분명히 맞다고 생각하고
어떻게 재원을 충당할 것인가... 라고 궁금했었는데,
제시하신 절충안이 상당히 설득력 있게 보입니다.
물론 그 과정에서 의료업계와 민간보험업계의 엄청난 반발이 예상되지만요;;

의료보험 변화의 가장 큰 걸림돌은, 국민 대부분이 중증 질환을 앓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당장 자신의 부담금이 늘어나는 것에 대해 반대한다는 점이겠지요.
막상 자신들이 엄청난 의료비는 부담하게 되면 얼마나 절실한 정책인지 알게 될텐데...
병이라는 것은 누가 언제 어떻게 걸릴지 모르는건데 참 안타깝습니다.
12/11/29 14:39
수정 아이콘
이상하게 이쪽에는 길게 쓰고 싶지가 않네요.. 쓸려면 제대로 써야 하고.
여튼 커버리지를 늘리면 보험료를 올려야 하고, 보험료를 올리지 않으면 커버리지는 비슷하거나 재조정을 해야겠죠.
비급여 부분을 줄여 나가는 건 맞습니다만, 반대로 국민들이 좀 더 나은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도 박탈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그 동안의 경험을 비춰보면 의료수가 현실화를 믿느니 팥으로 메주를 쑤는걸 믿겠습니다. 아니면 상대가치로 내부교란이나 시키겠죠.
비급여를 줄인다면 일단 수가부터 올려놓으면 진정성을 조금이나마 믿겠습니다. 대놓고 원가의 80% (제가 예전에 듣기론 60%)였는데.. 그 원가도 상당히 비의료적인 방향에서 접근해서 산출한 결과인데 이렇게 받고 경영을 하라는 것 자체가 모순이고, 거의 민간영역에 의존하는 한국에서, 이윤을 낼수 없는 의료기관을 수가만으로 수지타산이 안맞는 체계로, 사실상의 강제적인 요양기관 설정으로 운영하는것 자체가 부당합니다.
성식이형
12/11/29 15:02
수정 아이콘
솔직히 불가능한걸 주장하는게 박,문 양측 의료 정책입니다.
다만 정도의 차이에서 박측이 그나마 낫죠.
현재의 의료시스템자체도 붕괴직전입니다.
국가별 의료수준을 따질때 가장 기초가 되는 모성 사망률의 경우 놀랍게도 08년도부터 증가추세입니다.
11년 기준으로 08년도의 2배이상으로 상승했습니다.
올해 빅5라는 서울대 삼성 아산 등등의 산부인과 전공의는 미달이 되었습니다.(빅5가 전부가요)
흉부외과나 기타 등등 은 이미 오래전부터 그래왔고, 비뇨기과는 연차당 1명을 채우기도 어렵습니다.
문측 에서 주장하는 정도의 건보 인상안으로는 현 시스템 유지도 어렵습니다.
그런데 100만원 상한제요???

덧붙여 참으로 웃기는게, 정부(혹은 국민들)에서 의료를 대하는 태도가 너무도 이중적입니다.
의료는 국민의 기본권에 해당하는 공공재적 성격을 가진다라는 주장은,
의료수가 결정이나 자율권을 제한할때 전가의 보도 처럼쓰입니다.
반면, 오지나 시골 지역, 의료 취약 지역의 부족한 의료 현실을 말할때는 의사의 개인적 욕심을 비판하지요.

문측 의견(김용익)은 의사수를 늘리면 의료취약 지역에도 병의원이 늘어날 것이라는건데 완전 헛소립니다.
의사수가 두배가 되어도 시골지역에 산부인과를 개업하는 미친사람은 없습니다. 100%망하거든요.
차라리 50%의 확률에 걸고 레드오션인 미용, 성형 부분에 뛰어들지 어떤 멍청이가 반드시 망하는 일을 하겠습니까??
성식이형
12/11/29 15:15
수정 아이콘
의료에 대한 제대로된 정책을 펼치려면 툭 터놓고,
건보료의 상당 수준 인상을 전제로 말을 해야 합니다.
오지에도 산부인과가 필요하다면 정부에서 병원을 세워서 하루에 1-2명이 오더라도 유지를 시켜야 합니다.
(2011년 현재 모성 사망율이 강원도가 서울의 3배입니다.)
정말 의지가 있다면 설령 1년에 10명의 총상환자만이 나오더라도 군병원 몇곳에는 총상 전문 외과를 유지시켜야 합니다.
그러려면 재정이 아주 많이 필요합니다.

위에도 말씀드렸듯 박, 안 둘다 말도 안되고 할수 없는 정책입니다.
헌데 박은 무상보육 취소처럼 선거후에 안될거 같으면 취소할거 같은데,
문은 의약분업처럼 죽이되는 밥이 되는 밀어부칠것같습니다(김용익이 의약분업의 주역이죠).
희극에 가깝지만, 공약을 안.지켜줄거 같은 박을 제가 지지하는 이유입니다.
레지엔
12/11/29 15:46
수정 아이콘
셋 다 현실성도 없고 솔직히 말해서 문제의 본질을 비껴간, 나쁜 의미로 아주 정치적인 공약일뿐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12/11/29 17:01
수정 아이콘
재미있는게 올려주신 링크들 보시면 공보보장률 58.2%에 불과해 80%대까지 올리겠다합니다.
얼핏보면 우리나라가 표에 나온 10개 국가보다 나라에서 해주는게 적은것 처럼 보이지만
옆에 GDP대비 국민의료비% 를보면 6.92% 로 나온 국가중 국민이 내는 돈 또한 가장 적습니다.
국민의료비 대비 공보보장률로 계산해보면 우리나라 8.41%, 평균 8.69%, 별 차이 없습니다.
다시말해 내는 만큼 받는거죠

다른 나라는 2000년대 초반 자료 갖고 오고 우리나라는 2009년 자료 쓰고 (전세계적으로 노령화 --> 의료비 증가)
10개 국가를 뽑은 기준 또한 의심스럽네요.
GDP $27000 기준이라 써있는데 30개국 정도 될텐데 미국이 빠진것 보면 우리보다 공보보장률 높은 국가만 뽑은것 같기도 하고...
12/11/29 17:07
수정 아이콘
네, 우리나라는 저비용-저급여의 형태죠.
안철수 전 후보의 경우, 적정비용-적정급여로 올려야한다는 주장을 했었습니다.
저 또한 사보험 지출까지 함께 고려해본다면, 보험비가 조금 많이 오르더라도 더 보장해주는 정책. 그렇게 나쁠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자료가 조작된 것이라면 좀 그렇군요.
사실 저는 다른 나라와 구지 비교해야 할 문제는 아니라고 보기는 합니다만....

ps. 퇴근해야 겠네요.
집에 가서 확인 하겠습니다.
그리움 그 뒤
12/11/29 18:23
수정 아이콘
허... 의료정책에 대해서는 별다른 의견들이 없으시네요
혹시 의협에서 휴진, 휴업, 파업을 준비하고 진행하고 있는 것을 아시는 분들 있나요?
12/11/29 18:43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다음달 5일에 총파업을 할 수도 있는 모양이네요.

<< 의협도 파업...다음달 5일 오후 총파업 예고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112&aid=0002365354

* 의료계는 이번 파업을 통해 수가 결정 구조 개선,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 처우 개선, 연간 진료비 총액 상한제 추진 중단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의료수가 인상 문제를 비중있게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비급여 항목의 급여 전환과 더불어, 의료수가를 원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인상하는 정도로는 협의가 이루어질 것 같지 않네요.

ps. 택시도 파업한다는 군요. 난리네요...
<< 이번엔 택시 총파업 경고…교통난 우려 확산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55&aid=0000239885
켈로그김
12/11/30 15:3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의료계 파업을 지지합니다.
노동자로서의 저 자신에게 꽤나 좋은 휴식이 될 듯 하고,
경영자로서도 밀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듯 하고,
한 가정의 남편으로서도 약가루를 마시지 않는 날이 하루라도 생긴다는게 기쁘고..
약사로서는.. 지켜봐야 알겠지만, 크게 불똥만 튀지 않는다면야.. 상관없다는 입장이니..

한 15일 이상은 푹~ 쉬었음 합니다. ..정말 지쳐 쓰러지기 일보 직전이에요..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ㅠㅠ

의료계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낼 수 있다고 한다면..
의료급여, 차상위 대상자들에 대한 엄정한 관리가 동반되면 좋겠네요.
지금도 의료쇼핑이 살짝 도를 넘었다는 느낌을 많이 받아요.
Mr.prostate
12/11/30 00:51
수정 아이콘
김용익이 민주당 비례대표죠. 의료정책은 논할 가치를 못 느낄 정도입니다 저로서는.
의료 문제에 한해서 말하자면 문 후보가 대권을 쥐고 김용익이 한국 의료정책을 좌지우지하게 되는 순간 헬게이트가 열릴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2 [일반] 여론조사 기관 편향도 분석 [7] 잭스 온 더 비3891 12/11/30 3891
101 [일반] 문재인 ‘대통합 국민연대’ 추진 [38] 무플방지위원3534 12/11/30 3534
100 [일반] 안철수 전 후보, 손학규 고문과 비공개 회동 [60] 타테시4282 12/11/29 4282
99 [일반] [프레이저 리포트 ] 전후 한국경제 고속성장의 핵심요인은 ? [86] demiru3807 12/11/29 3807
98 [일반] 10년 전 참여정부-MB정부 5년, 누굴 심판하지? [46] 설탕가루인형3798 12/11/29 3798
97 [일반] PGR21 회원들에게 안티 네거티브 운동을 제안합니다~! [52] Rommel2935 12/11/29 2935
96 [일반] D-20) 지금 시점에서 대선 향방 단상 [27] 삭제됨2634 12/11/29 2634
94 [일반] 박, 문, 안후보의 의료정책에 대해... [25] 산타2724 12/11/29 2724
93 [일반] 요즘 들리는 호남소식(대선관련) [49] 아는 지인3135 12/11/29 3135
92 [일반] 돌아보는 문-안 지지율 변화 (리얼미터 7MA) [5] 마바라2539 12/11/29 2539
91 [일반] 각 후보를 지지하는 이유 (결과 통계 업) [101] OrBef3667 12/11/29 3667
90 [일반] [11/28] 리얼미터 7MA (기간 추가) [38] 마바라3984 12/11/29 3984
89 [일반] D-21 여론조사 모음 [16] 어강됴리3351 12/11/28 3351
88 [일반] 안철수에게 바르샤 축구를 묻다 [4] 사티레브2649 12/11/28 2649
87 [일반] 문재인 후보 의자 관련한 언론의 편파보도가 정말 지나치네요. [261] 타테시5320 12/11/28 5320
85 [일반] 박근혜가 대신 질문해드리겠습니다!!!! [31] 설탕가루인형3715 12/11/28 3715
84 [일반] 김순자 후보를 소개할까 합니다. [19] 시크릿전효성4271 12/11/28 4271
82 [일반] 박근혜 후보 토론회 나오시지요. [258] 김익호5213 12/11/28 5213
81 [일반] 리얼미터 7일 이동평균선 차트입니다. (원래 차트 추가) [21] 마바라3637 12/11/28 3637
80 [일반] 박근혜 국민면접 하이라이트 [8] 어강됴리3439 12/11/28 3439
79 [일반] 중앙선관위 "安, 강연 통한 선거지원은 불가능" [46] 홍승식4449 12/11/28 4449
78 [일반]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13] 무플방지위원3922 12/11/27 3922
77 [일반] [리얼미터] 다자구도에서 박근혜, 문재인 상대로 오차범위 넘는 차이로 우세 [38] Alan_Baxter4255 12/11/27 425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